검색 상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급, 생활변인(여가시간, 부모와 대화시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학교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충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3개 중·고등학교 학생 50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에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기본심리욕구 충족 척도 그리고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일련의 회귀분석절차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미성 검증에는 Sobel 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적응과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경우 학교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학교급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학업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고등학생이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학교적응 수준이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여가시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교적응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학교적응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일평균 여가시간이 아예 없는 것보다 1시간미만이라도 주어질 경우 학교적응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평균 부모의 대화시간이 거의 없는 경우 학업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 모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의 세 가지 하위욕구별로 매개효과 검증에서, 자율성 욕구가 완전매개효과를, 유능감과 관계성 욕구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가 모두 존재하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욕구별로 살펴봄으로써 각각의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과 경로를 차별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업스트레스 8
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10
3. 학교적응 14
4. 각 변인 간 선행 연구 15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측정도구 21
3. 자료처리 25
Ⅳ. 연구결과 26
1. 연구변인의 기술 통계치 26
2.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 간의 관계 27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교적응의 차이 29
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의 매개효과 34
Ⅴ. 논의 45
1.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 45
2. 연구의 의의 50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1
참고문헌 53
부록 6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