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자기개념명확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개념명확성 간에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의 초등학교 2곳에서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4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개념명확성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명확성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사회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자기-구조변인인 자기개념명확성을 다루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더불어 사회불안을 낮추기 위한 교육·상담적 개입 시에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을 확인하고, 자기개념명확성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부과 완벽주의
2. 사회불안
3. 자기개념명확성
4. 각 변인 간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2.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및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
3. 초등학생의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