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적 배제 이후 경계선 성격 성향자들의 공격성

Aggression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fter Social Exclusion.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ce of group differences in aggression and negative affect among hig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fter induced with social exclusion(High-Excl), hig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fter induced with social inclusion(High-Incl), low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fter induced with social exclusion(Low-Excl), and low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fter induced with social inclusion(Low-Incl). A total of seventy-nine individuals participated in Cyberball game and Reaction Competition Task(RCT). Results are as follows. Main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main effect of time, 2-way interac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and time, and 3-way interac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social context, and time, were significant on aggression. Main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2-way interactive between social context and time and 3-way interac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social context, and time, were significant on negative affec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ggression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d individuals a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유도한 고-경계선 성향자 집단, 사회적 소속을 유도한 고-경계선 성향자 집단, 사회적 배제를 유도한 저-경계선 성향자 집단, 사회적 소속을 유도한 저-경계선 성향자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속/배제 유도 후의 공격성 및 부정 정서의 변화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총 79명의 참여자들이 사이버 볼 게임과 반응속도 게임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공격성에 있어서는 경계선 성격 성향의 주효과, 측정시점의 주효과, 경계선 성향과 측정시점의 이원 상호작용 효과, 경계선 성격 성향, 사회적 맥락, 측정시점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부정정서에 대해서는 경계선 성격 성향의 주효과, 사회적 맥락과 측정시점의 이원 상호작용 효과, 경계선 성향, 사회적 맥락, 측정시점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계선 성격 성향자들의 공격성의 특징과 향후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3
1. 경계선 성격장애 3
2. 경계선 성격장애의 대인관계 기능 4
3. 경계선 성격장애의 사회적 배제 6
1) 사회적 배제의 개념 6
2) 경계선 성격장애의 사회적 배제 연구 6
4. 경계선 성격장애의 공격성 9
1) 공격성의 개념 9
2) 경계선 성격장애의 공격성 9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11

IV. 연구 방법 13

V. 연구 결과 22

VI. 논의 32

■ 참고 문헌 38
■ 부록 47
■ ABSTRACT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