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례관리자 개인 및 조직의 특성이 사례관리자 역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Case Manager’s Competency

초록/요약

사례관리자 개인 및 조직의 특성이 사례관리자 역량에 미치는 영향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황 자 춘 지도교수 하 경 희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 개인 및 조직의 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례관리자 및 조직의 특성이 사례관리 수행에 전문적 역량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민관 사례관리의 수행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자의 개인적 특성(사례관리경력, 사례관리 교육, 자기 효능감)은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례관리자가 근무하는 조직적 특성(소속, 사례회의 빈도, 기관지지 수준, 네트워크 수준)이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자의 개인적 특성인 경력과 자기효능감이 사례관리자 전문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자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적 특성 중 기관의지지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례관리자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적 특성 중 사례관리자가 속한 소속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례관리 수행과정에서 개인과 조직의 특성간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여, 사례관리자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실증적으로 무엇인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례관리자의 개인적 특성인 경력, 자기효능감, 조직적 특성인 소속, 기관의 지지는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례관리자들의 사례관리수행에 적극적인 참여와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례관리 업무 및 전문적 역량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가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관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과 예산배정과 같은 별도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근거해 제언을 하면 사례관리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전문적인 영역으로 사례관리자의 전문성 축적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조직의 특성에 다른 사례관리 역할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과 민간이 보다 중점적으로 개입해야할 대상 범위를 명확히 하고 분담되는 역할에 따라 공공과 민간의 사례관리 인력에 대한 교육과 지원 체계가 차별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설문조사에 의존하여 수행되어 전문적 역량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또한 응답자들은 특정 지역의 공적분야와 민간분야에 소속된 사례관리자들로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사례관리 5
1. 사례관리의 개념과 발달과정 5
2. 사례관리자 역량 7

제2절 사례관리자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9
1. 사례관리자 개인의 특성 9
2. 사례관리자 조직의 특성 13


제 3 장 연구 설계 18

제1절 연구 문제 및 모형 18

제2절 조사 대상 및 절차 19

제3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19
1. 독립변수 19
2. 종속변수 20

제4절 분석 방법 21


제 4 장 분석 결과 22

제1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22
1. 개인적 특성 22

제2절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24
1. 사례관리 교육 경험 및 욕구 24
2. 사례회의 실시 27
3. 기관의 지지 및 네트워크 수준 28

제3절 가설의 검증 31
1.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31
2.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31


제 5 장 결론 34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34
제2절 연구의 논의 35
제3절 연구의 제언 36
[참고문헌] 39
[설문지] 43

[표 목 차]
[표 1] 연구 모형 18
[표 2] 조사대상자 특성 23
[표 3] 교육경험 유무 및 교육 횟수 24
[표 4] 교육 만족도 24
[표 5] 교육 욕구 순위 결과 26
[표 6] 교육방법 욕구 순위 27
[표 7] 사례회의 27
[표 8] 기관의 지지 및 네트워크 수준 분석 28
[표 9] 전문적 역량 분석 30
[표 10]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1
[표 11] 사례관리자 전문적 역량에 미치는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 3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