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용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용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별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용동기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상․하위 집단별 이용동기와 학교적응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용동기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에 위치하는 고등학생 1, 2, 3학년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657명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스마트폰 기능중 카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평일에는 2-3시간, 주말에는 3-4시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실제 사용과 상관없이 많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이 있으며 부모님과 갈등을 경험하는 학생이 63.5%에 이르렀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이었고 스마트폰 과의존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조절실패가 가장 높았고, 현저성, 문제적 결과 순서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 동기로는 정보추구, 관계추구, 시간보내기, 오락추구, 편익추구 순서대로 결과가 나왔다.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은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영역 중 학교친구, 학교생활, 학교교사, 학교공부 순서대로 잘 적응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고등학생의 학년별 스마트폰 과의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더 스마트폰에 더 과의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동기의 차이에서 오락추구 동기를 제외한 정보추구, 관계추구, 시간보내기, 편익추구에서 여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학년별 스마트폰 이용동기의 차이에서 3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정보추구동기가, 1, 2학년은 3학년에 비해 관계추구동기가 높게 나왔다. 셋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상․하위 집단별 이용동기의 차이에서 과의존 상 집단이 오락추구와 시간보내기 동기가, 과의존 하 집단이 정보추구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상․하위 집단별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과의존 하 집단이 과의존 상 집단보다 학교공부, 학교교사, 학교생활에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학교적응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추구 동기와 관계추구 동기는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기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과 이용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용동기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심각한 문제 상태가 되기 전 상태에서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를 확인하여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국문초록 ⅰ
표 목차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1. 스마트폰 과의존 9
2. 스마트폰 이용동기 13
3. 학교적응 18
4. 각 변인들의 관계 22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도구 27
3. 자료 분석 29

Ⅵ. 연구결과 31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31
2.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의 차이 34
3.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른 이용동기의 차이 36
4. 스마트폰 과의존 상․하위 집단에 따른 이용동기와 학교적응 의 차이 38
5. 스마트폰 과의존, 이용동기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40


Ⅴ. 논의 및 결론 48
1. 요약 및 논의 48
2.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8
부록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