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15 개정 수학과 중학교 1학년 함수영역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 연구 :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적용받는 2018학년도 중학교 1학년의 교과서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 단원의 도입 취지와 목표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또한, 변경된 함수의 도입이 학생 및 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식을 설문 및 면담을 통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올바르게 정착하여 학생과 교사에게 혼란을 일으키지 않고 도입취지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정리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학습하는 중학교 1학년 그래프 단원의 10종 교과서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분석한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수준별 문제를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는 수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이세영, 2011). 교과서의 구성 체제는 용어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비슷하게 전개 되어 지고 있었다. 그래프의 정의를 내린 부분을 살펴보면 각 교과서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교과서에서 ‘좌표평면’의 단어는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었으며 ‘변수’의 개념의 사용 유무, ‘문자’의 사용 유무로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이런 그래프의 정의가 교과서마다 다르게 사용되는 것을 통일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필요해 보인다. 그래프 단원의 문제는 교과서마다 6∼15문제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가 그래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함수의 그래프 해석 수준에 따른 문제 수를 비교해 보면 ‘수준2’, ‘수준3’, ‘수준1’, ‘수준4’ 순이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그래프를 그리고 값을 내는 문제(수준1)보다는 그래프를 보고 다양하게 해석하는 문제(수준2, 수준3)가 더 많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교과서의 구성이 문제를 푸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둘째, 학업만족도 설문지 분석을 통해 그래프 단원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른 단원에 비해 그래프 단원은 다양한 실생활 소재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받아드리기가 쉬웠다고 하였다. 셋째, 그래프 단원을 배운 후 학업 성취도 평가를 통해 그래프에 대해 잘 이해했는지 10종 교과서의 다양한 문제들을 종합하여 수준별로 출제하여 20분간 풀어보았다. 단순히 그래프를 그리고 값을 내는 문제는 높은 정답률을 보였지만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답률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수준4의 문제는 스토리로 만드는 것이 아닌 단순히 그래프의 모양을 설명하는데 그쳤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교과서가 가야 할 방향은 문제 중심 전개 방식을 체험 중심 전개 방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서의 예제나 문제의 소재뿐만 아니라 문제들도 실생활과 관련되어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많이 접한다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을 것이고 다양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융합형인재로 기를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연구문제 4
4. 연구의 제한점 5
5. 기대되는 효과 5

Ⅱ. 문헌고찰 6
1. 2015 개정 교육과정 6
2. 함수 영역에서 그래프 개념의 중요성 9
3. 함수영역의 그래프 단원 해외 교과서 사례 11

Ⅲ. 연구방법 22
1. 연구 대상 22
2. 연구 방법과 도구 23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9
1.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 29
2. 그래프 단원의 학습 만족도 분석 49
3. 그래프 단원의 성취수준 50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8
부록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