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불안정성이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학대 및 정서적 불안정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의 관계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정서적 불안정성, 단절 및 거절 도식,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학대 및 정서적 불안정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간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이 있는 개인들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affective lability, and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sixty-six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a battery assessing emotional, maltreatment, affective labilit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results showed that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affective labil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as to understand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as well as thes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and correcting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with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this study were suggested.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경계선 성격장애 4
2. 정서적 학대, 정서적 불안정성, 경계선 성격장애 5
1) 정서적 학대와 경계선 성격장애 5
2) 정서적 불안정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7
3. 정서적 학대, 정서적 불안정성, 단절 및 거절 도식 9
1) 정서적 학대와 단절 및 거절 도식 9
2) 정서적 불안정성과 단절 및 거절 도식 12
4.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경계선 성격장애 16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9
연구 목적 19
연구 가설 21
Ⅳ. 연구 방법 22
연구 대상 22
측정 도구 22
통계 분석 24
Ⅴ. 연구 결과 26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26
측정 모형 검증 28
연구 모형 검증 29
매개 효과 검증 32
Ⅵ. 논의 33
● 참고문헌 37
● 부록 49
● ABSTRACT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