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또래상담자의 상담경험이 도래상담자의 자아 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의 또래상담 학생들이 또래상담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교우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인격형성기에 있는 초등학생에게 또래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에서도 그 효과를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또래상담을 맡아 진행하고 있는 또래상담자들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개선에 어떤 효과가 있을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생활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목적을 연구문제와 연관하여 ‘또래상담자의 상담경험이 또래상담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와‘또래상담자의 상담경험이 또래상담자의 교우관계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로 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을 첫째, 또래상담자의 상담경험은 또래상담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줄 것이다. 둘재, 또래상담의 상담경험은 또래상담자의 교우관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증과정은 실험집단 선정, 사전검사, 또래상담프로그램,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당초 용인시지역 초등학교중 2017년도 용인시청소년상담센터 또래상담프로그램을 신청하여 실시중이거나 실시예정인 학교를 대상으로 100여명의 또래상담학생을 선정하여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학교의 사정과 여타 여건으로 인하여 용인시 포곡초등학교 또래상담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또래상담은 5월1주에 시작하여 9월4주에 종료되었으며 사전검사는 실시 2주전에, 사후검사는 2주후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우관계를 검사하기 위하여 4개 영역에 20문항으로 구성된 김형태(1989)가 제작하여 문항분석을 거쳐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검사도구가 비교적 오래되었으나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였으며 현재도 사용되고 있어 본 연구자도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을 검사하기 위하여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한 척도(김희화, 김경연, 1996)를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후에 사전 사후 검사지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해석을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또래상담내담자 학생들의 상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또래간의 친밀함이나 가정에서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학교생활에서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상담의 경험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주변 친구들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생활하는데 도움을 주며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수 있다. 그러므로 내성적인 성격이나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 다소 위축되거나 폭력적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 상담경험을 가지게 될 경우 긍정적이고 자신있는 태도로 학교생활이나 대인관계에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일수 있다. 다만 기를 살리기 좋아하거나 과도한 부모의 개입으로 인하여 무리하게 원하지 않는 상담경험을 할 경우 오히려 안좋을 결과를 불러올수도 있으므로 담당 교사와 학부모, 훈련을 맡은 전문상담사의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또래상담내담자 학생들의 상담경험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우관계의 하위 영역중 친구간의 적응영역과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영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제의 지속성과 친구간의 공동활동 영역에서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와 가설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또래상담 8
2. 자아존중감 11
3. 교우관계 14
4. 선행연구 고찰 17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검사도구 19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21

Ⅳ. 연구결과 23
1. 자아 존중감 검사 23
2. 교우관계 검사 25

Ⅴ. 요약 및 결론 27
1. 요약 27
2. 결론 28

참고문헌 30
부 록 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