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질 전위공격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분노 억제와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rait Displaced Aggression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and Perceived Interpersonal Support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특질 전위공격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분노 억제와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가 연속매개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특질 전위공격성, 분노 억제,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노 억제와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는 특질 전위공격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연속매개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평가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보다 완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질 전위공격 성향을 지닌 사람 모두가 우울한 감정을 겪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분노에 대해서 부적응적인 대처 전략을 사용하고 대인관계에서 지지를 낮게 지각할 때 우울을 겪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질 전위공격성을 지닌 사람들에 대한 치료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ger-in and perceived interpersonal suppor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displaced aggression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ree hundreds thirty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trait displaced aggression, anger-in, perceived interpersonal support, depression. As a result, Anger-in and Perceived interperson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displaced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full-mediation model had better model fit than partial-mediation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all people with trait displaced aggression tend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that they may experience depression when they use maladaptive coping strategy about anger and perceive low level of suppor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bout them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escribed.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7
1. 특질 전위공격성 7
1) 특질 전위공격성의 개념 7
2) 특질 전위공격성과 우울의 관계 12
2. 분노 억제 13
1) 분노 억제의 개념 13
2) 특질 전위공격성과 분노 억제의 관계 15
3) 분노 억제와 우울의 관계 16
3.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 17
1)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의 개념 17
2) 특질 전위공격성과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의 관계 19
3) 분노 억제와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의 관계 20
4) 지각된 대인관계 지지와 우울의 관계 22
III.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및 가설 23
1. 연구 목적 23
2. 연구 문제 및 가설 23
3. 연구 모형 23
IV.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측정 도구 25
1) 한국판 전위공격성 질문지(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eustionnaire: K-DAQ) 25
2)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26
3) 대인관계 지지 평가 척도(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27
4) 통합적 한국판 우울증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27
3. 분석 방법 28

V. 연구 결과 30
1.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30
2. 측정 모형 검증 32
3. 연구 모형 검증 33
4. 매개효과 검증 36
VI. 논의 38
참고문헌 43
부 록 56
ABSTRACT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