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용자의 이용경험과 개인의 거동성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수요추정 모형

A Demand Estimation Model for Public Library based on User‘s Experience and Individual Mobility

초록/요약

최근의 공공도서관은 다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능변화에 꼭 반영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가 노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이다. 이로 인해 노령층의 여가선용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도서관법,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 매뉴얼에 규정된 현재의 공공도서관 설치기준에서는 봉사대상인구 즉 지역의 인구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이용수요를 추정한다. 봉사인구수 2만명 기준 1,000명당 70㎡에서 20만명 기준 1,000명당 40㎡로 6개구간을 나누어 규정하고 도시, 농어촌에 따라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하는데 이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구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한 고령화사회의 특성은 반영되어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도서관 사용자의 이용경험 및 거동성을 고려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수요를 다음과 같은 단계를 적용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도서관 이용수요자의 미래인구를 추정한다. 출산율, 생존율 등을 감안하여 자연증가 인구와 사회적 유입률을 고려하여 인구를 추정한다. 둘째,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도서관 설치기준인 봉사대상인구 당 공급기준면적을 적용하여 추정한 미래인구가 해당되는 공공도서관 공급기준면적 기준을 현행 수요추정방법으로 적용한다. 셋째, 세대별로 이용경험의 가중치와 거동성이 고려되는 가중치를 각각 구하여 이용경험, 거동성을 고려한 수요추정 모형을 각각 제시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인구구조변화를 추정하여 기존 문화체육관광부의 현행 도서관 수요추정과 동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 도서관 이용경험, 거동성 및 향후 이용의사를 반영하여 설정한 동 연구의 도서관 수요추정 모형에 각각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다. 세대별 도서관 이용경험과 향후 이용의향을 살펴본 결과,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집단의 도서관 이용의향은 모두 6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도서관 이용의사가 많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도서관 이용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거동성이 악화될 경우 도서관 이용의향을 살펴본 결과, 도서관 이용 의사가 88%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용경험과 거동성을 고려한 수요 가중치 도출하여 만들어 낸 공공도서관 수요를 추정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① 도서관 이용경험을 고려한 세종시 도서관 수요추정 모형 = (현재 기준수요 면적/1000명) × 120% × 세종시 미래인구 × 이용경험 누적가중치 ② 도서관 이용경험을 고려한 세종시 도서관 수요추정 = (현재 기준수요 면적/1000명) × 120% × 세종시 미래인구 × 거동성 가중치 먼저 현행 매뉴얼을 적용한 세종시의 장래 도서관 수요는 추정된 장래 세종시 인구규모에 공공도서관 건립운영매뉴얼 기준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현행 매뉴얼을 적용한 세종시의 장래 도서관 수요는 2020년 17,941㎡에서 2050년 26,771㎡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이용경험 가중치를 적용한 세종시의 장래 도서관 수요는 2020년 19,351㎡에서 2050년 42,670㎡로 추정되었으며, 여기에 거동성을 고려한 세종시의 장래 도서관 수요는 2020년 19,207㎡에서 2020년 38,969㎡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이용경험 가중치와 거동성을 고려한 세종시의 장래 도서관 수요는 현행제도를 적용한 수요보다 2020년 7.9%와 7.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50년 각각 59.4%와 45.6%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행 제도상 공공도서관 설치기준 개정시 공공도서관 건립시 인구구조, 고령화 진행 정도를 감안하고,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시 본 연구의 수요추정 모형을 바탕으로 계획규모 및 사업비 산정하여 인구구조변화가 반영된 미래형 공공도서관 건립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건립운영매뉴얼상의 공공도서관 설치기준을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한 수정모형을 수요추정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법제도상 적용기준 자체에 대한 검증은 아니라는 한계가 있어 수요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1 . 연구문제의 제기 5
2 . 연구분석의 틀 설정 5
3 . 공공도서관 수요추정 모형 6
4 . 연구의 적용 6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공공도서관 7
1. 공공도서관의 정의 7
2. 도서관의 기능변화 29
3. 도서관 발전정책, 공공도서관 건립체계 및 현황 46
4. 공공도서관 건립기준 검토 63
제2절 수요추정방법 70
1. 공공도서관 수요추정 검토 70
2. 타 공공시설 수요추정 연구 분석 72
제3절 인구구조 변화 고찰 75
1. 인구구조 변화 분석 75
2. 노인의 특성 분석 79
3. 고령화사회의 여가문화 공간 필요성 82
제4절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85
1. 공공도서관 이용 관련 선행연구 85
2.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7
제3장 이용경험과 거동성 실태조사 95
제1절 조사개요 95
1. 조사의 목적 및 내용 95
2. 조사대상의 일반현황 96
제2절 결과 분석 99
1. 표본의 특성 99
2. 설문분석 결과 100
3. 지역별, 인구학적 차이분석 110
제4장 수요추정 모형 126
제1절 장래인구 추정 126
1. 인구추정 방법 126
2. 세종시 인구추정 135
제2절 수요추정 방법론 151
1. 인과모델(Causal Model) 151
2. 시계열모델(Time Series Model) 154
제3절 도서관 수요추정 모형 158
1. 도서관 이용경험을 고려한 수요 가중치 158
2. 거동성을 적용한 수요 가중치 도출 162
제4절 세종시 도서관 수요추정 166
1. 현행제도상 기준수요 166
2. 도서관 이용경험을 고려한 세종시 도서관 수요추정 167
3. 거동성을 적용한 세종시 도서관 수요추정 169
4. 기준수요와의 비교 170
제5장 결론 172
제1절 요약 172
제2절 시사점 174
제3절 한계점 176
참고문헌 177
영문요약 183
<부록> 18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