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마음반 유아들의 갈등해결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스토리텔링 수업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유아가 주체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도록 교사가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하여 갈등해결 지원방법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유아 갈등해결 지원의 구체적 과정은 어떠한가? 2. 스토리텔링 수업과 연계한 일생생활에서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은 어떠한 변화를 나타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마음반 유아 15명(남자 9명, 여자 6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유아의 또래 간 갈등을 관찰한 결과 유아가 자발적으로 해결하기보다 교사의 개입을 요청하는 사례가 많음을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음반 유아의 주도적인 갈등해결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했다. 연구기간은 2017년 3월 27일부터 7월 14일까지이며, 마음반 유아의 갈등상황 관찰을 통한 문제점 파악, 해결방안 모색 및 문헌고찰, 계획, 예비실행, 반성, 실행, 관찰 및 반성, 재실행이라는 단계를 반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1차 실행 후 반성과정을 통해 2차 실행방안을 계획하여 2차 실행을 하였고 그 뒤 반성을 실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3차 실행방안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1, 2, 3차 실행을 마친 뒤 총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아 간 발생한 갈등을 관찰하였다. 수업은 마음반 담임교사이자 연구자가 실행하였고 이를 동영상 촬영 및 녹음한 뒤 전사하였다. 또한 교육계획안, 현장노트, 동료교사 및 지도교수와의 면담, 교사의 반성적 저널, 유아관찰 기록, 유아면담 녹음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범주화하고 이를 다시 재조직하며 연구결과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갈등해결 지원 과정은 1차 실행에서는 대집단 스토리텔링 수업을 이용한 갈등해결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유아들이 스토리텔링으로 제시된 이야기의 개괄적 내용에만 집중하여 자신의 경험과 연결짓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대집단 토의활동으로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갈등해결 방안을 생각하기 어려워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반성을 토대로 2차 실행은 소집단 체험식 교수접근 방법으로 전환하였다. 갈등상황이 담긴 스토리텔링을 대집단으로 듣고, 자신의 경험과 연결지으며 긍정적인 해결방법을 의논하는 소집단 토의를 진행하여 소집단 별로 이를 적용한 역할극 대본을 작성한 뒤 대집단으로 모여서 이를 공연하고 감상하며 평가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와 같은 2차 실행을 통해 유아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고 갈등과 연결하였으며 소집단 토의활동과 역할극의 연계로 주도적으로 갈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대집단으로 역할극을 실행하며 모두 재미있게 긍정적인 갈등해결과정을 체험하였다. 그러나 갈등해결지원을 위한 개별화 경험이 필요하며 교육적 경험과 실생활 경험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반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3차 실행은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돕기 위한 개인 체험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적 접근의 개별활동을 통한 갈등해결 지원을 모색하였다. 대집단 스토리텔링으로 감정조절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본 뒤 자유선택활동시간을 활용 통합적 접근을 실행하였다. 이때 소집단 및 개별 활동을 진행하며 갈등해결에 대한 개인 경험을 강화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 수업과 연계한 일상생활에서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의 변화는 마음반유아들의 자기중심적 사고와 행동에서 타인에 대한 감정 이해 및 공감의 확대, 갈등에 대한 부정적 해결에서 벗어나 보다 새롭고 긍정적인 해결방법으로 유머를 활용한 갈등해결방법 창안, 표면적 사과에서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사과로의 변화, 유아 간 갈등이 빈번했던 마음반에서의 긍정적 또래관계 확대, 부정적 정서 분출에서 정서조절로 향하는 유아들의 노력 증가가 있었다. 위와 같이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갈등해결을 지원하는 실행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갈등해결 지원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일상생활에서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의 변화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장에서 유아의 능동성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갈등해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more

목차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연구문제 7
3.용어의 정리 7
가.유아간의 갈등 7
나.갈등해결 지원 7
다.스토리텔링 수업 8
Ⅱ.이론적 배경 9
1.갈등 9
가.갈등의 개념 9
나.유아 갈등의 원인 11
다.유아 갈등해결 전략 12
라.유아 갈등해결에 대한 선행연구 16
2.스토리텔링 18
가.스토리텔링의 개념 18
나.스토리텔링의 교육적 가치 20
다.스토리텔링 수업모형 23
라.스토리텔링에 대한 선행연구 28
3.유아 갈등해결을 위한 스토리텔링 수업 29
Ⅲ.연구방법 32
1.실행연구 32
2.연구 참여자 33
3.연구자 및 연구동기 34
4.연구현장 36
가.S초등학교병설유치원 36
나.마음반 37
5.연구절차 38
가.전반적 과정 38
나.사전 준비 38
다.본 실행 과정 39
6.실행 단계 및 내용 40
가.문제파악, 해결방안 모색 및 문헌고찰 43
나.스토리텔링 수업계획 47
다.예비실행 및 반성 55
라.실행연구 준비 57
마.본 실행 및 반성 58
7.자료수집 59
8.자료 분석 및 타당도 61
가.자료 분석 61
나.타당도 61
9.연구의 윤리성 62
Ⅳ.연구결과 및 해석 63
1.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갈등해결 지원 과정 63
가.1차 실행: 대집단 스토리텔링 수업을 이용한 갈등해결 시도 63
나.1차 실행 반성 75
다.2차 실행: 소집단 체험식 교수접근 방법으로의 전환 77
라.2차 실행 반성 111
마.3차 실행: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돕기 위한 개인 체험활동 강화: 통합적 접근의 개별활동을 통한 갈등해결 지원 모색 113
2.스토리텔링 수업과 연계한 일상생활에서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의 변화 142
가.자기중심적 사고와 행동에서 타인에 대한 감정 이해 및 공감의 확대 142
나.갈등에 대한 부정적 해결에서 벗어나 보다 새롭고 긍정적인 해결방법 창안: 유머를 활용한 갈등해결 147
다.표면적 사과에서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사과로의 변화 150
라.유아 간 갈등이 빈번했던 마음반에서의 긍정적 또래관계 확대 156
마.부정적 정서 분출에서 정서조절로 향하는 유아들의 노력 증가 163
Ⅴ.논의 및 결론 168
1.논의 168
가.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용한 갈등해결 지원 과정 168
나.스토리텔링 수업과 연계한 일상생활에서 유아의 갈등해결 양상의 변화 174
2.결론 및 제언 179
참고 문헌 182
부 록 19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