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공감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소도시에 재학 중 인 중,고등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실시,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추가로 실시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 공감과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 영역에서, 자기 노출, 정서적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의 세 영역이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여자청소년이 관계 지향적이므로, 동성의 주 양육자인 모와 개방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여학생들이 관계 중심적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생각과 느낌을 잘 알아차리고 표현 하여 공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급 에서는 중학생이,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입시가 중요한 한국의 사회분위기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성취 압력이 고등학생 자녀에게 더욱 가중되기 때문 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감은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공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은 발달시기와 따라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다르게 인식함을 밝혔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녀의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특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자녀의 생각과 감정 등을 잘 수용하고 공감하는 개방적인 대화를 함으로서 자녀가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여러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잘 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함을 강조 하고, 청소년들의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시기적절하게 조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부모-자녀 의사소통 8
2. 공감 12
3. 대인관계 유능성 15
4. 선행연구동향 19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측정도구 23
3. 연구절차 27
4. 분석방법 27

Ⅳ. 연구결과 29
1.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29
2.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 34
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38

Ⅴ. 논의 및 결론 45
1. 요약 및 논의 45
2.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록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