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의 부모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on Interpersona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경기도 S시 인근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 4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1982)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에서 제기한 성별에 따른 아동의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결과는 부모애착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2에서 제기한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한 것은 세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이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연구문제 3에서 제기한 정서조절능력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한 결과는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타인조절능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비하여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문제 4에서 제기한 부애착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사이에서 정서조절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결과는 아동의 부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문제 5에서 제기한 모애착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사이에서 정서조절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결과는 부애착과 같이 아동의 모애착도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기의 중심에 있는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의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조기에 개입하여 학업중단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찾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as mediated by emotional regulation in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 451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boys and girls with regard to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it shows that boys’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are lower than the ones of girls. Meanwhile, the study revealed that parental attachment was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re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adjustment as well as parental attachment. The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ren has an effect on their interpersonal adjustment. Ultimately Parental attachment has a direct influence upon children’s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it was found to has an indirect effect via the emotional regulation in children.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애착 7
2. 정서조절능력 10
가. 정서 10
나. 정서조절과 정서조절능력 11
3.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15
가. 적응 15
나. 학교적응 및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17
4. 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간의 관계 20
가. 애착과 정서조절능력 20
나. 애착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21
다.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23
라. 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25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28
가. 부모애착 28
나. 정서조절능력 29
다.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30
3. 자료 처리 및 분석 31
Ⅳ. 연구결과 33
1.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정도 33
가. 부모애착 33
나. 정서조절능력 34
다.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35
2.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
적응 차이 35
3. 부모애착, 정서조절능력,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 사이의
상관관계 37
4. 정서조절능력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 40
5. 부모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41
가. 부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41
나. 모애착이 학교에서의 대인관계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43
Ⅴ. 논의 및 결론 46
1. 요약 및 논의 46
2.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부록 72
ABSTRACT 8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