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영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Innovative Schools Operat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영이 중학생의 주요 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시행이 국가적 차원의 교육개혁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혁신학교가 동일 여건의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국어, 수학, 영어교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혁신학교가 동일 여건의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추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 학교효과 논의를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그리고 혁신학교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종단적 학업성취도 효과 연구가 미진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혁신학교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으로 첫째, 혁신학교 정책의 외적 타당도 측면 충족 둘째, 교육책무성 차원의 사회적 요구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달하지 못한 미진한 점에 대하여 준실험설계를 통해 합리적으로 보완하였다. 곧, 분석 대상 학교의 측정기간을 5개 연도(2011년~2015년)로 확장한 학업성취도 자료를 종단적으로 구축하여 그 성취도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 정교한 분석을 위해 혁신학교와 동일 여건의 일반학교를 1대 1 매칭기법으로 목적 표집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 문제와 학업성취 결정요인 관련 통제변수 문제를 해소하였다. 이어, 두 집단 간 고유한 학업성취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초기 출발점 수준의 차이로 인한 영향을 통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2011년도 학업성취도 자료를 공변량(covariate)으로 처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생수준 배경 변수와 학교수준 배경 변수를 동시에 통제하여 연도(시간)의 변화에 따른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곧, 반복측정 공분산분석(Repeated-Measure 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공변량과 통제변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4개 연도(2012년~2015년)에 걸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두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수학교과의 기초학력 성취수준을 보면, 유의수준 .05에 근접한 의미 있는 유의확률을 보여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잠재적인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낼 개연성이 있었다. 다음으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4개 연도에 걸친 집단 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학교과에서 혁신학교의 학력 향상 추세를 확인하였다. 곧, 수학교과의 기초학력 성취수준에서 연도(시간)와 학교유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또한, 수학교과의 보통학력이상 성취수준과 영어교과의 기초학력 성취수준에서는 유의수준 .05에 근접한 의미 있는 유의확률을 보여 연도(시간)와 학교유형 사이에 잠재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이외, 나머지 교과 성취수준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집단 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본 연구 분석 결과, 일각에서 문제 제기되었던 혁신학교의 학력 하락에 대한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해, 혁신학교의 학업성취도는 일반학교와 비교해서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혁신학교의 인지적 영역의 성과는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미래형 학력, 참된 학력이라는 교육목표는 전통적 학력의 개념인 학업성취도와 비교했을 때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시행이 국가적 차원의 교육개혁 주요 흐름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혁신학교의 지정은 교육 양극화 해소와 교육 평등성 실현의 원칙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육재정에 대한 효율적인 예산 관리가 요청된다. 둘째, 정부 차원의 교육책무성 정책에 대한 방향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학교교육 책무성 강화와 효과적인 지원 시스템 마련이 요청된다. 넷째, 현행 교육지원청의 업무와 역할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된다. 곧, 교육지원청은 단위학교의 학교혁신과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함께 디자인하고, 실질적으로 지원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 체제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9
Ⅱ. 이론적 배경 10
1. 혁신학교 10
가.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10
나. 혁신학교의 등장과 확산 13
다. 혁신학교의 의미와 기능 15
라. 혁신학교의 운영 원리와 의의 17
2. 학교교육의 책무성과 혁신학교 21
가. 교육책무성의 개념과 접근 21
나. 학교교육의 책무성 25
다. 교육책무성 관점에서 본 혁신학교 28
3. 혁신학교 효과 31
가. 효과적인 학교와 혁신학교 31
나.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35
다. 혁신학교 효과 연구 검토 38
Ⅲ. 연구 방법 47
1. 분석 대상 및 자료 47
2. 변수 구성 50
3. 분석 방법 57
Ⅳ. 연구 결과 60
1.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국어교과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60
가. 국어교과 학업성취도 출발점 점검 60
나. 국어교과 반복측정 분석 결과 61
2.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71
가. 수학교과 학업성취도 출발점 점검 71
나. 수학교과 반복측정 분석 결과 72
3.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영어교과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83
가. 영어교과 학업성취도 출발점 점검 83
나. 영어교과 반복측정 분석 결과 84
Ⅴ. 논의 및 결론 94
1. 요약 및 논의 94
2. 결론 및 제언 102
참고 문헌 106
Abstract 1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