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 자기해석양식을 통한 상향비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through self-construal styl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수동적 SNS 이용, 상향비교, 우울, 자기해석양식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인 모형을 탐색하였으며,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에 대한 자기해석양식의 영향을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을 통해 모집된 36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수동적 SNS 이용과 상향비교의 관계에서 두 가지 자기해석양식의 조절효과를 각각 분석한 결과,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만 조절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동적 SNS 이용이 상향비교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에서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동적인 방식의 SNS 이용이 높으면 상향비교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되어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때 수동적인 방식의 SNS 이용이 많으면서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높을 경우 상향비교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이론적․실제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4
2. SNS와 상향비교 6
3.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 및 상향비교 9
4. 자기해석의 정의 11
5. 자기해석과 상향비교 및 우울 13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16
1. 연구 목적 16
2. 연구 가설 18
3. 연구 모형 18
IV. 연구 방법 19
1. 연구 대상 19
2. 측정 도구 19
1) SNS 활동 척도 19
2) 상향비교 척도 20
3) 독립적 자기해석 척도 20
4)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척도 21
5) 우울 척도 21
3. 자료 분석 22
V. 연구 결과 23
1. 기술통계 23
2. 상향비교의 매개효과 24
3. 자기해석양식의 조절효과 26
4.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29
VI. 논 의 32
VII. 참고문헌 38
VIII. 부록 48
ABSTRACT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