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로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바람직한 어머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위 내용의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 가?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내 군포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2세 이하의 영아를 양육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2017년 2월 13일~2월 24일까지 10일 동안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2017년 3월 6일~3월 31일까지 배부 및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기법으로는 첫째, 연구 대상자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를 실시하였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영아기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중에는 스마트폰 육아정보 탐색 성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어머니들은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양육효능감 중에는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이 가장 높았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매우 낮은 상관관계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가 매우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효율적인 육아정보 습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영아기 어머니의 역할 7
가. 영아기 발달적 특징 7
나. 영아기 어머니의 역할의 중요성 9
2.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11
가. 육아정보의 개념 및 특성 11
나. 영아 어머니에게 필요한 육아정보 내용 13
다. 스마트폰 활용과 육아정보 15
3. 양육효능감 17
가. 양육효능감의 개념 17
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요인 18
4.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20

Ⅲ. 연구 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연구 도구 26
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26
나. 양육효능감 27
3. 연구 절차 29
가. 예비 조사 29
나. 본 조사 29
4. 자료 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1.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 수준 31
2. 양육효능감 44
3.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52

Ⅴ. 논의 및 결론 56
1. 논의 56
2. 결론 62
3. 제언 64

참 고 문 헌 65
부 록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