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텍스트 구조 및 바꿔 쓰기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및 요약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xt Structure and Paraphrase Instruc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to Comprehend and Summarize Expository Tex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요약하기 지도가 한국의 중학생들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구조와 바꿔 쓰기를 집중 훈련하는 각기 다른 유형의 지도에 따른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요약문 쓰기를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남시의 한 중학교의 3학년 두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6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총 12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실험 집단 모두 규칙기반의 요약하기 활동을 공통적으로 4차시에 걸쳐 진행 한 후, 텍스트 구조 집단은 신호 용어 및 그래픽 도식자를 활용하여 각기 다른 설명문의 글의 구조에 집중하여 요약하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면, 바꿔 쓰기 집단은 어휘 및 문장구조를 바꾸는 규칙 적용을 연습하며 요약하기 활동을 지속하였다. 각 수업유형 및 상ㆍ중ㆍ하 수준별 집단에 따른 읽기 및 요약문 쓰기 능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구조 및 바꿔 쓰기의 수업 유형의 요약하기 지도는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특히 하향식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수업 유형별 집단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난이도가 더 높은 문항의 경우 텍스트 구조 집중반이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요약하기 지도는 수업유형 및 수준별 각기 다른 집단 모두 요약문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요약문 쓰기 평가 항목 중 바꿔 쓰기 및 언어사용 부분에서는 바꿔 쓰기 집중반이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수준 집단의 경우에도 바꿔 쓰기 집중 훈련이 텍스트 구조 집중 훈련보다 좀 더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요약문 쓰기 지도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및 요약문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텍스트 구조 또는 바꿔 쓰기 전략의 훈련을 병행하여 요지를 파악하여 조직적으로 글을 요약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학습자들이 요약문 쓰기 활동에서 어렵게 느끼는 어휘, 문법능력과 바꿔 쓰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텍스트 구조 보다는 바꿔 쓰기 집중 훈련이 좀 더 효과적이며, 하위 수준의 학습자의 경우에도 바꿔 쓰기 훈련이 요약문 쓰기 능력 향상에 좀 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학교 현장에서는 텍스트 구조와 바꿔 쓰기 훈련을 병행하여 요약하기 수업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유형의 지도 순서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2.1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5
2.2 요약하기 6
2.3 텍스트 구조 지도 16
2.4 바꿔 쓰기 지도 18
2.5 선행연구 19
2.6 연구 문제 2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6
3.1 연구기간 및 절차 26
3.2 연구대상 27
3.3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30
3.4 요약하기 지도방안 4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6
4.1 읽기 능력의 변화 56
4.2 요약문 쓰기 능력의 변화 61
4.3 요약문 분석 68

Ⅴ. 결론 및 제언 77
5.1 결론 77
5.2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 록 92
Abstract 1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