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네트워크중심 창끝부대 데이터서비스 통합평가모델

Data Service Integration Assessment Model for Network-Centric Edge Force

초록/요약

정보통신 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전쟁의 패러다임은 플랫폼 중심전(PCW: Platform-Centric Warfare)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Centric Warfare)으로 전환되고 있다. NCW를 통해 궁극적으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의사결정자의 정보우위(Information Superiority)를 달성하는 것이다. 미국 등 군사 선진 국가들은 9.11 테러 발생 후 미래의 전장 환경을 불확실한 위협들과 예측할 수 없는 많은 갈등들로 가득한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인 복잡한 영역(Complex Area)이라고 정의하면서, 복잡한 영역에서 창끝부대(Edge Force)가 정보우위에 의해 민첩하게(Agility) 작전 활동을 수행하도록 창끝(Edge)까지 데이터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창끝부대의 정보공유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창끝부대 서비스 모델”들이 만들어졌다. 이 모델들은 시스템 공통 기능인 기술적 수준과 콘텐츠, 즉 구문적(Syntactic) 데이터 수준을 일부 평가할 수 있는 모델들이다. 그러나 창끝부대의 민첩성을 위해서 의미적(Semantic) 데이터 수준 이상의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어서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안하는 모델은 창끝부대가 작전을 위해 과업 활동 시에 필요한 서비스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원되는 시스템 서비스 수준을 평가한 다음, 작전 서비스 요구 수준과 비교하여 충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중심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통합 평가 모델”이다. 이 모델은 하부에 4개의 세부 모델을 개발하여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완성도를 제고시켰는데 4개의 개발 모델 현황 및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서비스 환경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 모델들이 인프라 중심, 플랫폼 중심, 네트워크 중심 등 각각 다른 환경을 기반으로 일부 계층적 부대 구조와 특정 군에 한정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네트워크 중심 환경을 기반으로 창끝부대를 정의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군 창끝부대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창끝부대 환경을 일반화하여 군 단독 작전뿐만 아니라 합동 및 연합작전 까지도 적용해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로써 모델의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데이터 서비스 개념 모델”을 개발하여 창끝부대의 작전, 서비스,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도록 요소를 식별하고 관계를 명시하였다. 작전에 따른 과업 활동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과 서비스로 수행되는데 개발 모델을 통해서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어 민첩한 서비스 지원과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데이터 서비스 적용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의 모델들에서는 작전에서 요구하는 과업 수행 활동과 요구 서비스 수준이 제한적이고 암묵적으로 되어 있거나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중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드러나 있지 않던 것을, 창끝부대의 작전 간 과업 수행 활동 및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 지원되는 시스템 서비스 속성과 이에 따른 현재 및 목표 능력을 개발 모델의 테이블에 세부적으로 명시하였다. 따라서 지원되는 서비스 수준은 작전에서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에 따라 적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에 이르는 논리적인 절차와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데이터 서비스 평가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 모델들에서는 창끝부대에서 요구되고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서비스 수준이 없어 암묵적으로 유추하던 것을, 구문적 데이터 서비스 수준 이하를 포함한 의미적 데이터 서비스 수준 이상까지 정의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평가 후속조치를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시행할 수 있어 서비스 관련된 전력의 사용자 및 소요 제기자, 의사결정자 및 관리자, 개발자가 통일된 시각을 갖게 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

제2장 관련연구 3
제1절 기본 개념 3
제1항 네트워크 중심 3
제2항 창끝부대 17
제3항 데이터 25
제4항 서비스 30
제2절 창끝부대 서비스 모델 현황 및 분석 39
제1항 창끝부대 서비스 모델 현황 39
제2항 창끝부대 서비스 모델 분석 46
제3절 소결론 47

제3장 네트워크 중심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통합 평가 모델 개발 50
제1절 데이터 서비스 환경 모델 51
제1항 개요 51
제2항 구성요소 53
제3항 구성요소의 관계 56
제2절 데이터 서비스 개념 모델 58
제1항 개요 58
제2항 구성요소 59
제3항 구성요소의 관계 63
제3절 데이터 서비스 적용 모델 65
제1항 개요 65
제2항 구성요소 67
제3항 구성요소의 관계 68
제4절 데이터 서비스 평가 모델 73
제1항 개요 73
제2항 데이터 서비스 수준 75
제3항 데이터 서비스 수준과 상호운용성의 관계 81
제5절 평가 시 적용할 데이터 서비스 수준 속성 및 측정기준 도출 82
제1항 개요 82
제2항 속성 및 측정기준 도출 85

제4장 네트워크 중심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통합 평가 모델 적용 및 비교 105
제1절 시나리오 개발 106
제1항 합동작전 상황 설정 107
제2항 평가할 합동작전 국면에 따른 창끝부대 노드 선정 108
제3항 평가 대상 창끝부대 작전 활동 및 시스템 능력 분석 109
제4항 세부 시나리오 개발 114
제2절 평가 시 적용할 시스템 속성 선택 및 측정기준 개발 115
제1항 평가 시 적용할 속성 선택 115
제2항 선택한 속성에 대한 측정기준 개발 116
제3절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평가 120
제1항 창끝부대 작전 활동 및 요구되는 데이터 서비스 수준 결정 121
제2항 현재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능력 측정 123
제3항 목표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능력 결정 132
제4항 시스템 서비스 지원 수준 평가 134
제5항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충족 여부 평가 136
제4절 평가결과 종합 및 분석 138
제5절 네트워크 중심 창끝부대 데이터 서비스 통합 평가 모델 비교 141

제5장 결론 145

참고문헌 148

Abstract 1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