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린이집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요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부모자원봉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의 부모자원봉사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3.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사의 가치인식은 어떠한가? 4.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자원봉사 활동 운영의 장애요인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 수원, 오산, 평택, 안산, 성남, 수지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보육교사(원장 포함)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 조사 과정의 미회수 분과 부실 응답자를 제외한 282부를 유효자료로 확정하고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109개 문항으로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 8문항, 부모자원봉사 운영 실태 4문항, 부모자원봉사 활동별 운영 실태 27문항과 요구도 26문항, 부모 자원봉사 활동의 가치는 24문항,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장애요인은 20문항으로 선행 연구(김선연, 김병주, 2004; 남미라, 2009; 서영희, 권미량, 김은주, 2006; 이소정,2008; 이혜자, 2016; 조미영, 2007; 최영라, 2006)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문항의 이해정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보완하였고 유아교육 전공교수 1인과 통계 전공교수 1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아 완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어린이집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실태 및 교사의 요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원봉사의 운영 실태에서 교사는 대다수가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나 실습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부모 자원봉사자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조사되었다. 둘째, 부모자원봉사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면 특별행사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능지원, 수업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사의 가치인식은 부모 측면, 영유아 측면, 교사 및 기관 측면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사 및 기관 측면에서 가정과 연계교육이 이루어져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부모 자원봉사 활동에 운영의 장애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모 측면에서는 맞벌이로 인한 시간적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및 기관 측면의 장애 요인은 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교사의 시간 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사는 부모자원봉사의 실천을 다양한 이유에서 원하고 있지만 이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이 업무로 이어지는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한계를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교사와 부모들에게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을 위한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고 교사의 처우와 근무여건 개선이 필요하며, 교사가 자원봉사 활동을 개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함에 있어 한계가 있으므로 효과적인 부모자원봉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급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리 6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개념 7
2.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내용 및 효과 9
가.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내용 9
나.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 12
3. 부모 자원봉사 활동의 장애요인 15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18
2. 연구 도구 20
3. 연구 절차 23
가. 예비 조사 23
나. 본 조사 24
4. 자료 분석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부모자원봉사 활동의 운영 실태 26
가. 부모자원봉사 운영 실태 26
나. 부모자원봉사 활동별 운영 실태 28
2.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요구 36
3. 부모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사의 가치 인식 41
4. 부모자원봉사 활동 운영의 장애요인 45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48
2. 결론 및 제언 55

참 고 문 헌 58
부 록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