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 A 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하였고, A 어린이집 15명의 유아를 실험집단, S 어린이집 15명의 유아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총 10회의 감정코칭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이정란(2003)의 부모용 자기조절력 검사를 김화자(2008)가 교사용으로 수정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감정코칭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기조절력 요인 중 ‘자기점검’의 하위요인인 ‘자기평가’, ‘자기결정’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행동억제’, ‘정서성’에 있어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1. 감정코칭 9
가. 감정코칭의 개념 9
나. 유아기 감정코칭의 교육적 가치 10
다. 감정코칭을 위한 교사의 역할 12
2. 자기조절력 16
가. 자기조절력의 개념 및 중요성 16
나. 자기조절력의 내용 및 하위요인 19
다.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 22
라. 감정코칭을 통한 자기조절력 발달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 대상 26
2. 연구 도구 27
3. 연구 절차 29
가. 연구 설계 29
나. 감정코칭 활동 구안 30
다. 예비 검사 34
라. 교사 교육 34
마. 사전 검사 35
바. 실험 처치 35
사. 사후 검사 41
4. 자료 분석 41
Ⅳ. 연구결과 43
1.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43
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상위요인 분석 44
나.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대한 하위요인 분석 46
Ⅴ. 논의 및 결론 50
1. 논의 50
2. 결론 53
3. 제언 54
참고 문헌 56
부 록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