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취목표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며, 두 변인 사이에서 직무요구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는 요인에 대해 확인하여, 프로그램의 대상자인 위기청소년은 물론, 운영의 실제적 주체가 되는 청소년동반자와 기관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 이직의도, 직무요구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간제 및 전일제 청소년동반자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5부를 제외하고 총 2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청소년동반자로 활동 중인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은 업무과다를 보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상담관련 전체경력이 적을수록, 수행회피목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학력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도전기회부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제와 전일제 청소년동반자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일제는 시간제 청소년동반자보다 직무요구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업무과다에 대해서도 전일제가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직무요구, 이직의도의 세 변인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성취목표가 높은 청소년동반자는 직무요구를 높게 인지하며 이직의도 또한 더 많이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직무요구와 이직의도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목표의 하위요인을 구분하여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숙달목표는 직무요구와 매개하지 않았다. 수행접근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는 완전매개 했으며, 수행회피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지역별로 비교적 고르게 대상자를 표집함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동반자의 전반적인 의견을 확인하며,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청소년동반자의 직무요구가 심리적 소진이 아닌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드문 가운데,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청소년동반자가 이직의도를 가지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직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 의미를 갖는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청소년동반자 6
2. 성취목표 10
3. 이직의도 15
4. 직무요구 22
5. 각 변인 간 선행연구 26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측정도구 34
3. 자료분석 37

Ⅳ. 연구결과 38
1.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38
2.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 이직의도, 직무요구 간의 관계 46
3. 청소년동반자의 성취목표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 48

Ⅴ. 요약 및 결론 55
1. 요약 및 논의 55
2.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3
부록 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