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 및 실행수준 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 및 실행수준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이수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은 어떠한가? 3. 사고유형별(생활안전, 교통안전, 자연재난안전, 범죄안전) 응급상황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광주, 용인, 수원, 화성, 평택, 안산, 안성, 안양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관리자와 유아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그중 310부를 최종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이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최원희(2015)가 개발한 교사대상의 안전교육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은 홍초롱(2014)의 사고유형별 응급상황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을 알아보는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를 알아보는 도구는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지도서(2016)를 참고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기법으로는 첫 번째로 연구 대상자인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이수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로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번째로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관리자 포함)의 지식 및 실행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받은 안전교육의 횟수는 연 5회 이하로 받은 유아교사가 대부분이며 안전교육 주최로 ‘교육청 및 보건복지부 교육 자료’를 활용해 교육 받는 유아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상황 대처에 효과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 내용과 방법에 ‘응급처치방법’과 ‘실습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전문지식 부족’과 ‘응급대처능력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의 정확도는 응급상황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유아의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간 상황’, ‘고열이 난 상황’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진 교사는 8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구에게 물린 상황’, ‘화상을 입은 상황’에 대해서는 10% 이하의 교사만이 정확한 대처 방법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고 유형별(생활안전, 교통안전, 자연재난안전, 범죄안전) 응급상황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식수준에 비해 실행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떡, 사탕 등에 기도가 막힌 상황’, ‘통학차량 하차 시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발생한 상황’, ‘산사태가 발생한 상황’, ‘학부모의 아동학대가 발생한 상황’ 등의 부분에서 지식과 실행수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하루일과 중 부딪혀 멍이나 혹이 생긴 상황’, ‘통학차량 승, 하차 시 넘어져 다친 상황’, ‘대설이 발생한 상황’, ‘유아 간 언어, 신체적 폭력이 발생한 상황’ 등의 부분에서 지식과 실행 수준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친구에게 물린 상황이나 화상 등의 일부 응급상황에 대해서 정확한 지식을 가진 교사들이 매우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활안전, 교통안전, 자연재난안전, 범죄안전의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는 지식수준에 비해 실행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수준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과 실행 수준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체계적인 안전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유아교육기관의 응급상황 발생과 예방 7
가. 응급상황의 개념 및 응급상황 대처의 중요성 7
나. 유아교육기관의 응급상황 발생현황 8
다. 영유아의 발달과 관련된 응급상황별 예방지침 10
2.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 17
가. 응급상황 대처의 기본방향 17
나. 유아교사의 응급상황별 대처 방법 및 지식 19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도구 25
3. 연구절차 27
4. 자료분석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이수 실태 현황 29
2.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수준 37
3.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 및 실행수준의 차이분석 38

Ⅴ. 논의 및 결론 49
1. 논의 49
가.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이수 실태 현황 49
나.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수준 52
다. 사고 유형별(생활안전, 교통안전, 자연재난안전, 범죄안전)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 및 실행수준 차이 57
2.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록 1 69
부록 2 7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