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본 심리적 욕구에 기반한 대인관계 행동 척도(IBQ)의 타당화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본 심리적 욕구를 기반으로 한 욕구-지지적인 대인관계 행동과 욕구-좌절적인 대인관계 행동을 소개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인 대인관계 행동척도(Interpersonal Behaviours Questionnaire; IBQ)와 대인관계 행동척도-자기(nterpersonal Behaviours Questionnaire-Self; IBQ-Self)를 타당화 하고자 한다. IBQ는 타인의 자율성-지지 행동, 유능감-지지 행동, 관계성-지지 행동과 동시에 자율성-좌절 행동, 유능감-좌절 행동, 관계성-좌절 행동에 대한 지각을 평가하며. IBQ-Self는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는 것이다. IBQ의 탐색적 요인분석(N=259)을 실시한 결과, 4문항 씩 6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N=246)을 통해 6요인이 가장 적합한 구조임을 검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의 표본을 사용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했다. 그 결과 IBQ는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가졌으며, 욕구-지지적 행동은 행복관련 지표와 욕구-좌절적 행동은 불행 지표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IBQ-Self의 탐색적 요인분석(N=259)은 IBQ와 동일한 6요인 구조를 나타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N=237)을 통해 역시 6요인이 가장 적합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표본을 사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했을 때, IBQ와 동일하지만 더 약한 상관을 나타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IBQ와 IBQ-Self의 한국판 척도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서론 1
II.이론적 배경 4
1.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4
2.기본 심리적 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 5
1)기본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5
2)욕구-지지적인 대인관계 행동과 욕구-좌절적인 대인관계 행동 7
3)기본 심리적 욕구의 기존 연구와 척도 10
가)기본 심리적 욕구를 기반으로 한 기존연구 10
나)기본 심리적 욕구를 기반으로 한 척도 10
3.기본 심리적 욕구와 안녕감(Well-Being) 13
III.연구 목적 및 가설 15
1.연구 목적 15
2.연구문제 16
IV.연구방법 17
1.연구대상 17
2.연구 절차 19
1)척도 번안 19
2)탐색적 요인분석 19
3)확인적 요인분석 19
4)모형 검증 20
5)타당도 검증 20
3.측정도구 21
1)대인관계 행동 척도(Interpersonal Behaviours Questionnaire; IBQ) 21
2)대인관계 행동-자기 척도(Interpersonal Behaviours Questionnaire-SELF; IBQ-SELF) 21
3)대인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interpersonal relationships; BPNS-interpersonal relationships) 22
4)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23
5)주관적 안녕감 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23
6)주관적 활력 척도(Subjective Vitality Scale; SVS) 24
7)사회적 바람직성(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13; MC SDS-13) 24
V.결과 25
1.IBQ의 결과 25
1)탐색적 요인분석 25
2)확인적 요인분석 30
3)타당도 검증 33
가)수렴 및 변별 타당도 34
나)준거관련 타당도 36
2.IBQ-Self의 결과 37
1)탐색적 요인분석 37
2)확인적 요인분석 42
3)타당도 검증 43
가)수렴 및 변별 타당도 44
나)준거관련 타당도 46
VI.논의 47
참고문헌 51
부 록 57
ABSTRACT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