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진로장벽을 매개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지각된 진로장벽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5개 시⦁도의 일반계 고등학생 1, 2, 3 학년 459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진로장벽 척도,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개방적 의사소통은 진로장벽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진로성숙도와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문제적 의사소통은 진로장벽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진로성숙도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개방적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 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셋째, 문제적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 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성숙도는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진로장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개방적 의사소통은 자녀의 지각된 진로장벽을 낮추고, 낮아진 진로장벽은 진로성숙도를 높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실제 진로 장벽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지각된 진로장벽이므로, 개방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부모 교육과 진로상담을 하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장벽에 대한 대처방안 또는 지지자원에 관한 연구등을 통해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1. 부모-자녀 의사소통 6
2. 진로장벽 13
3. 진로성숙도 27
4. 변인간의 관계 34
Ⅲ. 연구방법 39
1. 연구대상 39
2. 조사도구 40
3. 연구절차 46
4. 분석방법 47
Ⅳ. 연구 결과 48
1. 부모-자녀 의사소통,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간의 상관분석 48
2. 개방적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 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51
3. 문제적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 간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53
Ⅴ. 논의 및 결론 55
1. 요약 및 논의 55
2.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3
부록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