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기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Obesity and Dental Car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관찰연구이다. 비만 외에도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 직접적인 예측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1,64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 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하여 t검정, x^2검정, 단순/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년) 자료를 통합하는 경우, 통합가중치는 2010년 1/3, 2011년 1/3, 2012년 1/3로 계산하였으며 본 연구는 전체군에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비만,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은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음주는 확인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특이성은 가구소득, 흡연, 구강검진에서 확인되었다. 비만 여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흡연 여부 및 구강검진 여부에 따라 치아우식증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관련요인들을 고려하여 국가와 지역사회는 치아우식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예방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 흡연, 구강검진의 중요성에 관한 교육 및 예방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청소년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될 것으로 사료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목적 및 가설 3
3. 용어 정리 4

Ⅱ. 문헌 고찰
1. 청소년 치아우식증 6
2. 청소년 비만 7
3. 청소년 비만과 치아우식증 8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9
2. 연구대상 및 자료 10
3. 연구 변수 11
4. 연구 분석 12

Ⅳ.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13
2.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16
3. 남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17
4. 여자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19
5.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21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21
7.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23
8.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23
9. 성별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관련성 25
10.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25
11.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 27
12.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30
13.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32
14. 각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와 치아우식증의 로지스틱회귀분석 34

Ⅴ. 고찰
1. 연구 결과에 관한 고찰 37
2. 연구의 제한점 및 장점 40

Ⅵ. 결론 41

참고문헌 42

부록 50

ABSTRACT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