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분노사고를 매개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를 매개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비합리적 신념, 대인관계,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과 분노사고, 대인관계의 차이와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비합리적 신념이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를 이중매개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신념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의 경우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자의 점수가 남자의 점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차적 분노사고 역시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차적 분노사고의 경우 일차적 분노사고와는 다르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합리적 신념의 경우 대인관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차적 분노사고 및 이차적 분노사고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의 경우 일차적 분노사고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크기가 매우 작았고, 이차적 분노사고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역시 상관의 크기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차적 분노사고는 이차적 분노사고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에서 대인관계로 향하는 효과는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를 통해 연속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에서 대인관계로 향하는 직접경로 또한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는 부분매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분노사고를 통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비합리적 신념 6
2. 대인관계 8
3. 분노사고 11
4. 각 변인 간 선행연구 13

III.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측정도구 19
3. 자료 수집 및 분석 24

IV. 연구결과 25

V. 논 의 44

참 고 문 헌 50
부 록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