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 밖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의 이용 경험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두드림·해밀 프로그램, 학업중단숙려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서비스 이용 경험을 수집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중퇴를 경험하는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는 어떻게 도움 된다고 인식되고 있는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안은 무엇인가?’로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참여자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라는 정보는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는 심층면접 일을 기준으로 9-24세의 학교 밖 청소년 중 6개월 내에 6개월 이상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를 이용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층면접은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9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10월 까지 4개월 동안 1:1 인터뷰를 바탕으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전화통화, 스마트폰 메신저를 이용한 추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은 ‘자퇴 과정’, ‘학교 밖 생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로 달라진 생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의 아쉬움과 바람’이라는 4가지의 대주제로 요약할 수 있다. 자퇴과정이라는 맥락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은 현실적인 계획 없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받지 않고 학교를 중퇴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후 학교 밖 생활은 해방감, 자유로움을 경험했으나, 학교를 그만 둘 당시에 생각했던 현실이나 계획과 괴리감을 느끼며 더 큰 압박감이나 나태하고 불규칙한 생활이 보였다. 이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를 이용하며 학교 밖 청소년들은 교육과 다양한 직업, 문화 활동과 같은 경험,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며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최근(2015)에 시행되며 서비스 진행초기로 서비스 홍보의 부족, 서비스 제공기관의 다양함으로 인해 실제 이용의 혼란, 잦은 실무자 변경 등의 단점이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단계에 따라 실천적·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 전 단계에서는 학교 중퇴과정을 아우르는 매뉴얼 등의 개발로 시의 적절하게 학교를 중퇴하고자 하는 청소년에게 개입할 수 있도록 하여 학교를 중퇴하는 청소년이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고 학교를 이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에 청소년의 목표와 계획에 부합하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의 개설과 홍보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 이용 단계에서 관계부처별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안내하고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서비스 이용 중기 이후 단계에서는 서비스 종결과 사후관리 시점에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필요 시 서비스의 연장선상에서 사회진입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 5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5
2) 학교 밖 청소년 현황 6
3)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 7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 9
1)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서비스의 중요성 9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 현황 10

3.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 17

Ⅲ. 연구방법 19
1. 질적 사례연구 방법 19
2. 질적연구 참여자의 선정 및 자료 수집 20
3. 자료 분석 20
4. 연구의 엄격성 및 윤리적 고려 21

Ⅳ. 연구 결과 23
1. 서비스 제공 경험에 대한 사례 내 분석 23
2. 서비스 제공 경험에 대한 사례 간 분석 35

Ⅴ. 결론 및 함의 62
1. 연구 결과 요약 62
2. 실천적·정책적 제언 64
3.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67

참고문헌 69

<부록 1> 연구 참여자 면접지 72
<부록 2> 연구 참여자 동의서 7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