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날로그 메타포를 반영한 디지털 텍스트 읽기 콘텐츠 모델 연구

A Study on Digital Text Reading For Creating Content Model Based On Analog Metaphor

초록/요약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각종 모바일 기기들이 현대인의 생활 속 플랫폼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기존의 아날로그 매체들이 빠르게 디지털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로이드리스트사(Lloyd's List newspaper)라고 할 수 있다. 297년간의 역사를 자랑하는 로이드리스트사는 아날로그 매체의 수요가 줄어들자 과감히 기존의 매체를 버리고 디지털 서비스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적인 기업 구글(Google)은 2004년부터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roject)를 통해 도서관에 보관중인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 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렇듯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자연스레 현대인의 디지털 텍스트 읽기 양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텍스트와 디지털 텍스트는 내용이 같다 하더라도 물리적․구조적으로 역할은 서로 다르며,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그들의 연구를 통해 이를 밝히고 있다. 디지털 텍스트 읽기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는 이 시점에 스마트 미디어에서 텍스트를 읽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텍스트 읽기에 있어 아날로그 메타포 적용이 텍스트를 통한 정보전달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메타포의 적용이란, 두께감과 질감 같은 시각적 촉각성이나 밑줄 긋기와 같은 레스토르프 효과(Restorff effect)를 얻을 수 있는 행위의 상징을 적용한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요소를 반영한 콘텐츠 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콘텐츠 모델이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내려진 결론은, 디지털 텍스트 읽기에서 시각적 촉각성 및 밑줄 긋기와 같은 아날로그 메타포의 적용은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날로그 메타포와 디지털 기술이 조화를 이루어 디지털 텍스트 읽기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주제어 : 디지털 텍스트, 아날로그 메타포, 콘텐츠 모델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및 방법 8
제2장 디지털 텍스트 10
제1절 디지털 텍스트 정의 및 특징 10
제2절 디지털 텍스트 현황 13
1항. 디지털 텍스트 선행연구 13
2항. 디지털 텍스트 읽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적 수단 16
제3장 아날로그적 읽기 22
제1절 아날로그 정의 22
제2절 디지로그, 스큐어모피즘, 메타포 23
제3절 아날로그적 읽기 27
1항. 시각적 촉각성(Visual Tactility) 28
2항. 레스토르프 효과(restorff effect) 31
제4장 콘텐츠 모델 제시 32
제1절 연구문제 32
1항. 시각적 촉각성을 반영한 모델 33
2항. 밑줄 긋기를 반영한 모델 34
제5장 사용자 평가 35
제1절 실험 35
1항. 실험 방법 및 실험 절차 35
2항. 실험 대상 37
제2절 실험 결과 39
1항. Factor 1 결과 분석 39
(1) 퀴즈점수 39
(2) 과제 완성 시간 40
(3) 터치 횟수 41
2항. Factor 2 결과 분석 42
(1) 퀴즈점수 42
(2) 고난이도 문항 43
(3) 주관식 문항 44
제6장 결론 46
참고 문헌 48
ABSTRACT 52
부록 : 실험 텍스트 및 설문지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