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R&D 프로세스의 성숙도와 개선의지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D process maturity and the will to improve it on corporate performance

초록/요약

R&D는 기술혁신의 주 원동력으로 기업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R&D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흐름에 따라 많은 연구에서 R&D를 어떻게 수행해야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R&D는 투입(input)-프로세스(process)-산출(ouput)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전략적 의사결정, 자원의 분배, 조직, 제조의 결정 등 복잡한 매커니즘을 수반하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의 연구들은 단순히 투입과 산출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와 의지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기존의 연구를 고려하여 표준화된 R&D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R&D 프로세스와 관련한 연구들은 대부분 R&D 프로세스에 대한 제안 혹은 평가방법 등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표준화된 R&D 프로세스라고 정립할 만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R&D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R&D 프로세스 활동에 대한 수행도와 의지를 측정하여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다음으로 Partial Linear Squares(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모형을 설계한다. R&D 프로세스 활동의 수행 정도와 개선의지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매커니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개선의지에 따른 R&D 수행도, 그리고 그것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기존의 다양한 R&D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실제 기업에서 R&D 프로세스 활동을 얼마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기에, R&D 프로세스 활동에서 어떤 활동이 보다 더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R&D의 복잡성의 이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를 제시하는 것이며, 더불어 직접적 프로세스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의 시작점으로 향후 R&D 관련 연구에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more

목차

1장 서론
1절 연구배경
2절 연구목표
3절 연구구성

2장 관련 연구
1절 R&D 프로세스와 관련한 이론적 연구
2절 R&D 프로세스와 관련한 방법론적 연구
3절 연구 가설

3장 연구 프레임워크
1절 전체 연구 프로세스
2절 R&D 프로세스
3절 자료 수집 및 표본 특성
4절 연구 방법

4장 데이터 분석
1절 타당성과 신뢰성
2절 분석 결과

5장 결론 및 향후연구
1절 연구의 기여
2절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