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비명상을 통한 연민붕괴 억제 : 연민확장성의 조절효과

Inhibition of The Collapse of Compassion through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ssion Expandabilit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자비명상과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 1과 2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비명상과 연민확장성이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요인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비명상은 참된 연민을 계발하는 훈련방법이며, 연민확장성은 연민의 대상이 확장된 정도를 의미한다. 연민붕괴는 한 개인에 비해 다수에 대한 연민심, 기부의도, 기부행동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 정의는 선행연구들의 실험설계상의 문제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정의된 현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민심, 기부의도에서는 연민붕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고, 기부행동에서는 연민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연민붕괴가 연민확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민확장성-고집단과 저집단 모두 연민심과 기부의도에서 1명과 다수 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부행동에서는 연민붕괴가 연민확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민확장성-고 집단은 기부행동에서 연민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연민확장성-저 집단은 기부행동에서 연민붕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민확장성-고를 뜻하는 참된 연민이 기부행동의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연구 2에서는 자비명상이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2의 집단은 자비처치-연민확장성-저 집단과 비처치집단으로 구성된다. 비처치집단은 연구 1의 연민-확장성-저집단이다. 연구 결과, 자비처치-연민확장성-저집단과 비처치-연민확장성-저 집단 모두 연민심과 기부의도에서 1명과 다수 간의 차이가 없었다. 집단별 대상 수에 따른 기부행동의 혼합 변량분석 결과, 집단과 대상 수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 집단별 대상 수에 따른 기부금액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자비처치 집단은 기부행동에서 연민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비처치집단은 기부행동에서 연민붕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비명상이 기부행동의 연민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결과만으로 자비명상이 기부행동의 연민붕괴를 억제시킨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이론적배경․․․․․․․․․․․․․․․․․․․․․․․․․․․4
2-1. 연민․․․․․․ ․․․․․․․․․․․․․․․․․․․․․4
2-2. 연민붕괴 ․․․․․․․․․․․․․․․․․․․․․․․․․4
2-3. 연민붕괴 선행연구․․․․․․․․․․․․․․․․․․․․․6
2-4. 연민확장성․․․․․․․․․․․․․․․․․․․․․․8
3. 연구 문제․․․․․․․․․․․․․․․․․․․․․․․․․․․11

Ⅱ. 연구1․․․․․․․․․․․․․․․․․․․․․․․․․12
1. 연구 대상․․․․․․․․․․․․․․․․․․․․․․․․․․12
2. 측정 도구․․․․․․․․․․․․․․․․․․․․․․․․․․14
3. 연구 절차․․․․․․․․․․․․․․․․․․․․․․․․․․16
4. 분석 방법․․․․․․․․․․․․․․․․․․․․․․․․․․20
5. 연구1 결과․․․․․․․․․․․․․․․․․․․․․․․․․․21
6. 연구1 논의․․․․․․․․․․․․․․․․․․․․․․․․․․25

Ⅲ. 연구2․․․․․․․․․․․․․․․․․․․․․․․․․․27
1. 연구 대상․․․․․․․․․․․․․․․․․․․․․․․․․․․27
2. 측정 도구․․․․․․․․․․․․․․․․․․․․․․․․․․․27
3. 연구 절차․․․․․․․․․․․․․․․․․․․․․․․․․․․29
4. 분석 방법․․․․․․․․․․․․․․․․․․․․․․․․․․․30
5. 연구2 결과․․․․․․․․․․․․․․․․․․․․․․․․․․31
6. 연구2 논의․․․․․․․․․․․․․․․․․․․․․․․․․․35

Ⅳ. 종합논의․․․․․․․․․․․․․․․․․․․․․․․․․․․37

참고문헌․․․․․․․․․․․․․․․․․․․․․․․․․․․․․40

부록․․․․․․․․․․․․․․․․․․․․․․․․․․․․․․․․42

ABSTRACT․․․․․․․․․․․․․․․․․․․․․․․․․․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