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영자의 발견DNA와 기업성과 : 경쟁전략의 영향을 중심으로

CEO’s Discovery DNA and Corporate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etitive Strategy

초록/요약

전략분야에서 그동안 경쟁전략을 중심으로 기업성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주류를 형성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쟁체제와 더불어 애플의 잡스와 팀쿡, 아마존의 베조스, 삼성전자의 이건희 등 글로벌 혁신가의 성공 사례가 속속 출현하면서 경영자의 혁신능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잡스, 베조스, 마이클 델, 쥬크 버그, 앨런 머스크 등의 글로벌 혁신가의 성공 사례는 발견DNA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혁신능력의 기반이 되는 발견DNA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경쟁전략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발견DNA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발견DNA가 경쟁전략을 통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관한 기존 문헌을 정리하여 이론적 논리체계를 확립하였다. 이론적 논리를 바탕으로 기업특성 변수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경영자의 발견DNA와 기업성과, 그리고 기업의 경쟁전략의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는 전국에 산재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기업의 경영자 및 임원, 그리고 전략 및 총괄 부서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자료는 총 2,000부를 배포하여 268부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들 실증 분석 대상 표본은 수도권(45.1%)과 지방(54.9%), 대기업(32.9%)과 중소기업(67.1%), 제조업(87.8%) 및 서비스업(12.2%) 등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에 적용된 발견DNA의 경우 전반적으로 중앙값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관찰하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질문하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전략의 경우 제품차별화 전략이 시장차별화 전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에 적용된 표본 기업의 기업성과는 중앙값을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은 기업특성 변수를 중심으로 하는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발견DNA를 독립변수로 하고, 기업의 경쟁전략을 조절변수로, 기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 기업이 지방기업 보다, 제조업이 서비스업 보다 기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의 발견DNA는 전반적으로 기업성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영자의 발견DNA의 하위 구성요소 중 관찰하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기업의 상황에서 글로벌 혁신가에서 강조하는 연관시키기와는 달리 신제품과 시장에 대한 면밀하고 다양한 관찰하기 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경영전략의 주류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제품차별화 전략이 시장차별화 전략보다 기업성과에 대한 영향이 강한 것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영자의 발견DNA와 기업성과의 관계는 기업의 경쟁전략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영자의 실험하기 능력과 시장차별화 전략의 상호작용은 기업성과에 대한 상승작용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의 발견DNA와 기업의 전략은 별개의 관계가 아니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기업성과를 창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strategic field has primarily focused on examination of corporate performance centered on competitive strategy. However, along with the successful cases of global innovators such as Steve Jobs and Tim Cook of Apple, Jeff Bezos of Amazon, and Kun-hee Lee of Samsung in the time of a global competitive system, the interest in innovation ability of CEO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success stories of global innovators such as Steve Jobs, Jeff Bezos, Michael Dell, Mark Zuckerberg, and Elon musk have been the main areas of research in finding a discovery DNA. This research demonstrates examination targeting domestic companies,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ompetitive strategy & corporate performance centered on the discovery DNA,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ability of CE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discovery DNA being discussed in recent years has been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ferences related 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discovery DNA and competitive strategy has been organized in order to establish a logical theory system. This theoretical logic includes the corporate feature variation as the control variable, and a positiv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has been set regarding the discovery DNA of CEO, corporate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competitive strategy.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companies all over the nation. The gathered data was composed of surveys targeting CEO, executive staff, and directors of strategic and management departments. A total of 2,0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a valid sample of 268 copies was collected. The samples for positive analysis targets were distributed evenly, between capital area (45.1%) and local areas (54.9%), major companies (32.9%) and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67.1%), manufacturing business (87.8%) and service industry (12.2%). The discovery DNA of CEO was higher than median value, while the observing of discovery DNA a comparatively higher score than the questioning. In case of competitive strategy, the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higher than the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In additi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sample companies applied in this analysis displayed minor higher scores than the median value. The empirical analysis set the discovery DNA of CEO as an independent value with the firm’s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The competitive strategy of companies was the moderating variable, and the company performance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erformance was higher for capital area companies than local companies, and manufacturing business over service industry. It has been showed that the discovery DNA of CEO enhanced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In particular, among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CEO’s discovery DNA, the observing had a comparatively high influence on company performance. These results imply the significance of detailed and diverse observation skills regarding new products and the market, unlike the factor of associating which is emphasized for global innovators within Korean companies Porter’s original competitive strategy, a topic discussed in the main field of corporate strateg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In particular, it has been examined that the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had a higher influence on company performance that the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Finally,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very DNA of CEO and corporate performance was controlled by the competitive strategies of companie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of testing capabilities of CEO and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had a strong synergy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iscovery DNA of CEO and company strategies lead to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interaction.

more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 2절 연구의 방법 및 논문구성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경영자의 발견DNA
제 2절 발견DNA, 경쟁전략, 기업성과의 관계

제 3장 실증연구 설계
제 1절 연구 설계 및 가설
제 2절 변수의 측정
제 3절 자료 수집

제 4장 분석 결과 및 가설 검증
제 1절 표본특성
제 2절 신뢰도 및 타당석 분석
제 3절 분석 결과 및 가설 검증

제 5장 결론
제 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부 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