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와 학교급별의 조절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 있으며,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와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는 교사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급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지역 중·소도시에 근무하는 중등학교 교사 306명(중학교 교사 92명, 고등학교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표집 설문조사 하였다. 측정도구로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Wilson의 ‘Stress Profile for Teachers(SPT)’를 김준수(1998)가 번안하고, 이지혜(2012)가 대인관계와 관련된 4개 하위 요인만을 선택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의 대상자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중등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Fritz 등(1990)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하여 최일선, 조운주(2010)가 번안·수정한 도구를 이영애(2011)가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노종희(2001)가 개발한 ‘교사 직무만족 질문지(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들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4단계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직접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학교급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리자·동료교사·학생과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의사소통 능력은 모두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도 역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학교급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관리자와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학교급별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동료교사와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고, 학생과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주목할 만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1. 대인관계 스트레스 6
2. 의사소통 능력 8
3. 직무만족도 12
4.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측정도구 21
3. 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27
1.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27
2.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29
3.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학교급별의 조절효과 39
Ⅴ. 논의 및 결론 47
1. 요약 및 논의 47
2.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록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