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과학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비교 분석

Analysis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perceived by Gifted Scienc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초록/요약

과학영재학교에는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교원자격증이 없는 이공계 박사학위 소지 전문교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러한 박사급 전문교원제도가 영재학교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 7년이 경과하였으나 지금까지 이들의 역할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교사, 학생의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인식 수준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문교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역할기대, 역할수행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역할기대보다 역할수행이 낮게 인식되는 것에 대해 기대불일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수도권 소재 K과학영재학교 학생 216명,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가 없어 역할기대, 역할수행에 관한 34문항과 박사급 전문교원의 역할에 대한 일반인식을 묻는 8문항 등 총 42문항을 개발하였다. 역할기대, 역할수행에 관한 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박사급 전문교원의 역할에 대해 교사, 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역할기대에 있어 교사,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학생보다는 교사가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았으며, 하위 영역 중에서는 교과지도, 연구지도, 연구방법지도, 과학동아리 지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생은 없었다. 교사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은 반면 역할수행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나, 학생은 역할기대가 낮고 기대만큼은 역할수행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에 25.5%를 결정하고 있어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연령이 낮고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그리고 학위가 낮고 보직이나 담임을 경험하지 않은 교사일수록 교과연구, 학생연구지도, 연구방법지도 등의 영역에서 역할기대가 높거나 박사급 전문교원의 역할수행을 높게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넷째,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관계는 3차 다항식 형태의 추세선이 그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역할수행이 다시 역할기대를 끌어 올리는 양성 피드백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역할기대가 높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반대로 역할기대가 낮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대불일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역할수행이 다시 역할기대에 피드백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은 것에 대한 합리적인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기대만큼 역할수행을 못하고 있다고 기계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은 보다 신중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용어의 정의 2
3. 연구문제 3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역할 이론 5
1.1 역할의 개념과 특성 5
1.2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6
2. 기대불일치 이론 9
3. 박사급 전문교원의 현황과 역할 12
3.1 박사급 전문교원의 임용 근거 12
3.2 박사급 전문교원의 임용 절차 14
3.3 영재학교별 박사급 전문교원 임용 현황 14
3.4 박사급 전문교원이 수행하는 역할 16
4. 선행연구 분석 18

Ⅲ. 연구 방법 21
1. 연구 참여자 21
2. 연구 절차 24
3. 검사도구의 개발 25
3.1 검사 문항의 개발 25
3.2 해당없음 처리와 영역점수의 산출 28
3.3 요인분석 30
3.4 검사도구 내적신뢰도 분석 33
4. 자료 분석 방법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5
1. 박사급 전문교원의 역할에 대한 기본 인식 35
2. 역할기대, 역할수행 개별 분석 44
2.1 역할기대 비교 분석 44
2.2 역할수행 비교 분석 47
3.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관계 분석 50
3.1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차이 분석 50
3.2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회귀분석 54
3.3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상호작용 57
4. 응답자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61
4.1 성별에 따른 차이 61
4.2 교사 연령과 재직기간에 따른 차이 63
4.3 교사 학위, 보직경력 여부에 따른 차이 65
4.4 학생의 특기과목, 입학년도에 따른 차이 66

Ⅴ. 결론 및 제언 68
1. 결론 68
2. 제언 70

참고 문헌 71
부 록 75
1.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통계자료 76
2. 선행연구에 나타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차이 79
3. 교사용 설문지 80
4. 학생용 설문지 86
Abstract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