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이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두 곳의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450부의 설문지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의 세 변인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부정적 감정의 인내, 긍정적 지지관계, 통제력, 자발성 모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이 모두 관계가 있는 변인임을 의미하며 아동의 학교적응에 가족건강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탄력성을 통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건강성과 탄력성 모두를 키울 필요성이 있으며, 가족건강성을 키우기 위한 개입이 어려울 때는 아동의 탄력성을 길러주기 위한 상담심리적 개입을 통해서 아동이 학교에 잘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가족건강성 6
2. 탄력성 7
3. 학교적응 8
4.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의 관계 9


Ⅲ. 연구방법 14
1. 연구대상 14
2. 연구도구 15
3. 연구 절차 18
4. 자료 분석 19

Ⅵ. 연구결과 20
1. 주요 변인 기술통계 20
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탄력성, 학교적응의 상관관계 21
3.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23
4.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 25

Ⅴ. 논의 및 결론 36
1. 요약 및 논의 36
2.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1
부록 <설문지> 4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