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부모애착관계와 대인관계문제와의 연관을 살펴보고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거부와 수용에 대한 거부민감성과, 자기의 기분과 그 기분에 대한 사고 과정을 인식하는 정서자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 부모와의 안정애착 혹은 불안정 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원활한 대인관계를 위한 교육적 상담적 근거가 되어 건강한 정서적 발달과 성공적 대인관계를 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소재 6개 중학교 1, 2, 3학년 남녀 278명 이었으며 부모애착 측정을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The Inventory of Parents and PeerAttachment: IPPA)를 수정한 개정본(IPPA-R)을 옥정(1998)이 번안한 것 중 또래를 제외한 부와 모의 애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거부민감성 측정을 위해 Downey와 Feldman(1996)이 개발한 아동용 거부민감성 질문지(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이하 CRSQ)를 이경숙, 서수정, 신의진(2000)이 번안한 것을 박지윤(2004)이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서자각 측정을 위해 특질 상위–기분 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로 Mayer와 Gaschke(1988)의 연구를 참조해 Salovey 등(1995)이 개발한 척도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문제 측정을 위해 Horowitz, Rosenberg, Baer, Ureno와 Villasenor(1988)이 개발하고 Alden, Wiggins와 Pincus(1990)가 재구성한 대인관계문제검사(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Circumplex Scale: IIP-C)를 기초로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진유경(2002)이 수정, 보완한 단축형(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Scale: KIIP-SC)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수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sobe1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자각,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들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모애착과 거부민감성도 부적 상관의 관계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 정서자각과 대인관계문제의 하위변인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거부불안과 비주장성, 거부불안과 과순응성, 거부우울과 비주장성의 상관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냉담과 사회억제와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애착은 대인관계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애착의 하위변인인 소외감, 의사소통, 신뢰감 중 소외감이 대인관계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거부민감성이나 정서자각이라는 개인 인지적 요인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부모애착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며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은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들을 조사함에 있어 애착이론의 관점에 근거하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거부민감성과 정서자각의 매개효과를 밝혔다. 본 연구가 학교나 지역사회 현장의 교사나 상담사에게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중학생들을 조력하는데 있어 부모애착관계를 점검한 부모교육과 함께 거부민감성에 대한 상담적 접근 및 정서자각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되어 중학생들이 건강하게 대인관계문제를 해결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7
1. 부모애착 7
가. 애착의 개념 7
나. 청소년기의 애착 9
2. 거부민감성 11
가. 거부민감성의 개념 11
3. 정서자각 13
가. 정서자각의 개념 13
4.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자각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16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연구도구 21
가. 부모애착 척도 21
나. 거부민감성 척도 22
다. 정서자각 척도 23
라. 대인관계문제 척도 24
3. 자료 분석 26

Ⅳ. 연구결과 27
1.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자각,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관계 27
2.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30
3.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 자각의 매개효과 31

Ⅴ. 논의 및 결론 35
1. 요약 및 논의 35
2.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43
부록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