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알코올의존자의 입원경험이 퇴원 후 단주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입원 경험이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알코올 의존 환자의 회복과 단주에 있어서 입원치료가 미치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입원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단주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학력, 결혼유무, 고용형태, 월소득 등 이며, 두 번째는 과거 음주력으로 총 입원 횟수. 세 번째는 이전 입원 경험으로 심리재활 프로그램 참여, 자조모임 참여, 가족의 지지, 동료 환자의 영향, 퇴원 결정, 입원 회복 도움 등으로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조사대상자들의 경험에 의해 보고된 퇴원 후 단주유지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DSM-5에 의하여 물질 관련 즉 알코올 및 중독 장애로 진단받고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정신과 병동 또는 알코올 치료기관에 입원 중인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동일 진단으로 2번 이상 입원치료를 받았고 심한 기질적 장애를 지니지 않고 다른 정신 질환이 없으며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2월 1일부터 26일까지 4주간 총 5곳의 병원에 170부를 배포하여 수집된 158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충분 한 6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152부를 실제 분석에 적용하였다. 알코올 의존으로 처음 입원한 나이는 40대(37.5%)가 가장 많았고 전체 입원 횟수는 5회 미만이 36.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입원 기간은 최소2일부터 최대 390일까지로 보고되었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은 116.11일로 나타났다. 퇴원 후 첫 음주까지의 기간 역시 ‘퇴원 당일’ 이라는 응답부터 최대 2년10개월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나 퇴원 3개월 이전에 첫 음주를 했다는 응답이 무려 82.5%로 나타났다. 입원 기간 중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한 조사에서는 가족들에 대한 염려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입원 기간 심리재활치료와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결과에서는 병동 내 영화상영이나 오락 요법에 참여했다고 응답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참여율에 비해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입 변수들은 퇴원 후 재발에 미치는 영향 중 20.7%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 계수를 살펴본 결과, 입원회복도움이 재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월소득, 자조모임참여, 총 입원 횟수 순이었다. 즉, 입원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수록, 월소득이 높을수록, 자조모임에 참여할수록, 총 입원횟수가 적을수록 단주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입원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료 프로그램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치료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가장 먼저 환자의 임상적 상황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환자의 기능적 상태, 삶의 질, 욕구 등을 고려한 심리재활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동시에 환자들이 자발적으로 병동의 일을 꾸려 나가고 서로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자조집단의 체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며 원활한 사회복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낮병원 및 밤병원 등을 확대하여 장기입원 환자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것도 필요하다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알코올 의존의 개념 5
2. 알코올 의존 실태 7
3. 알코올 의존의 재발 9
4. 알코올 의존의 입원치료 1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모형 14
2. 연구 대상 선정 및 조사절차 15
3. 조사도구 16
4.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2
2. 알코올 의존 치료 경험 26
3. 주요변인 상관분석 39
4. 단주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1

Ⅴ. 결론 및 제언
1. 연구 결과 요약 43
2. 정책 및 실천적 제언 45

Ⅵ. 참고문헌 48

부록 1. 설문지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