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과학교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알기 위함에 있다. 과학교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은 초등 교사가 과학교과 수행평가를 어떻게 진행하고 있으며, 과학교과 수행평가를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연구대상은 10개의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105명이며, 교사의 배경과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대한 환경적 요인, 개인적 견해, 교육적 효과,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 교사의 인식과 교직경력과 과학교과 관련 연수 및 수행평가 관련 연수의 유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는 과학교과 수행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이 적절하며 참고자료가 적당하다고 인식한다. 과학교과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간의 공감대에 만족하지만, 공감대를 더욱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으며, 과학교과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데 교수, 학습, 평가 이외의 업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동료 교사에 대한 수행평가 수행 능력과 의지는 매우 긍정적이다.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와 과학교과 관련 연수 및 수행평가 관련 연수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수행평가의 정의를 모든 교사가 알고 있지는 않지만, 학생들의 과학교과 능력을 평가하는데 수행평가가 지필평가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수행평가의 필요성을 느낀다.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 과학교과 관련 연수 및 수행평가 관련 연수의 경험이 있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수행평가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다른 개인적 견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과학교과 수행평가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탐구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고력,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준다. 대부분의 교사가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인식하며, 교직경력 및 연수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는다. 넷째, 초등 교사는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평가기준을 필요로 하며, 연수의 제공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또한, 과학교과 수행평가를 실시하기에 학생과 부모가 교사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하며, 부모의 신뢰도가 학생의 신뢰도보다 낮다고 인식한다.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 및 연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과학교과 수행평가는 실행되어야하는 평가방법으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더욱 효율적인 평가가 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1. 이론적 배경 6
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과학과 평가 6
나. 과학교과 평가 영역 8
다. 수행평가 10
2. 선행연구 고찰 13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16
1. 연구 참여자 16
2. 연구 절차 18
3. 검사도구 18
4.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2
1.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 22
가. 환경적 요인 인식 분석 22
나. 교직경력에 따른 환경적 요인 인식 차이 25
다. 과학교과 연수에 따른 환경적 요인 인식 차이 26
라. 수행평가 연수에 따른 환경적 요인 인식 차이 27
2.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개인적 견해에 대한 인식 28
가. 개인적 견해 인식 분석 29
나. 교직경력에 따른 개인적 견해 인식 차이 33
다. 과학교과 연수에 따른 개인적 견해 인식 차이 35
라. 수행평가 연수에 따른 개인적 견해 인식 차이 37
3.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39
가. 교육적 효과 인식 분석 39
나. 교직경력에 따른 교육적 효과 인식 차이 40
다. 과학교과 연수에 따른 교육적 효과 인식 차이 41
라. 수행평가 연수에 따른 교육적 효과 인식 차이 42
4. 과학교과 수행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43
가. 문제점 인식 분석 43
나. 교직경력에 따른 문제점 인식 차이 47
다. 과학교과 연수에 따른 문제점 인식 차이 47
라. 수행평가 연수에 따른 문제점 인식 차이 48

Ⅴ. 결론 및 제언 50
1. 결론 50
2. 제언 53

참고문헌 55
부록 59
Abstract 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