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급망 가시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모델: 프로세스 역량 관점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for Supply Chain Visibility: Process Capability Perspective

초록/요약

오늘날 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업체들을 훨씬 능가하는 강력한 핵심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한 강력한 무기는 혁신 탁월성(Innovation Excellence)과 운영 탁월성(Operational Excellenc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역량들은 일시적인 혁신방법, 벤치마킹 또는 방대한 투자를 통해 쉽게 또는 짧은 시간에 확보할 수 없으며, 기업의 가장 적합한 비즈니스 전략하에 장기간 내재화된 운영역량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기업역량을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한 도전은 높은 공급망 가시성에서부터 시작된다. 공급망 가시성에 있어서, 기존까지의 대부분 연구는 주로 정보처리 관점에서 정보공유에 집중되어 있고, 정보공유에 활용되는 정보량이나, 관리자의 경험에 의한 질적 척도를 사용하여 정량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망 가시성에 대한 방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 보다 객관적이고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념과 정량화 모델은 아직 모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세스 역량관점에서 공급망 가시성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제안하고, 6시그마 방법론의 Z-Score를 활용하여 보다 정량적인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확장형 공급망에 대해서 제안된 프로세스 가시성 모델을 활용하여 종합 가시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 1
1.1 Background ⋅⋅⋅⋅⋅⋅⋅⋅⋅⋅⋅⋅⋅⋅⋅⋅⋅⋅⋅⋅⋅⋅⋅⋅⋅⋅⋅⋅⋅⋅⋅⋅⋅⋅⋅⋅⋅⋅⋅⋅⋅⋅⋅⋅⋅⋅⋅⋅⋅⋅⋅ 1
1.2 Objectives and Organization of the Thesis ⋅⋅⋅⋅⋅⋅⋅⋅⋅⋅⋅⋅⋅⋅⋅⋅⋅⋅⋅ 3
Chapter 2. Literature Review ⋅⋅⋅⋅⋅⋅⋅⋅⋅⋅⋅⋅⋅⋅⋅⋅⋅⋅⋅⋅⋅⋅⋅⋅⋅⋅⋅⋅⋅⋅⋅⋅⋅⋅⋅⋅⋅ 6
2.1 Definition of Supply Chain Visibility ⋅⋅⋅⋅⋅⋅⋅⋅⋅⋅⋅⋅⋅⋅⋅⋅⋅⋅⋅⋅⋅⋅⋅⋅⋅⋅ 6
2.2 Quantification of Supply Chain Visibility ⋅⋅⋅⋅⋅⋅⋅⋅⋅⋅⋅⋅⋅⋅⋅⋅⋅⋅⋅⋅⋅⋅ 8
2.3 Business Performance and its Measures for SC Visibility ⋅⋅⋅ 9
2.4 Gap in the Extant Research ⋅⋅⋅⋅⋅⋅⋅⋅⋅⋅⋅⋅⋅⋅⋅⋅⋅⋅⋅⋅⋅⋅⋅⋅⋅⋅⋅⋅⋅⋅⋅⋅⋅ 12
Chapter 3. Approaches for Improving Operational Excellence ⋅⋅ 14
3.1 Critical Factors inhibiting Supply Chain Performance⋅⋅⋅⋅⋅⋅⋅⋅14
3.2 Practices for SC Operation under Poor Visibility ⋅⋅⋅⋅⋅⋅⋅⋅⋅⋅⋅⋅ 17
3.3 Two Approaches to Achieving Operational Excellence ⋅⋅⋅⋅⋅ 20
Chapter 4. Quantification Model of Supply Chain Visibility ⋅⋅⋅⋅⋅ 23
4.1 Definition and Meaning of Visibility in General ⋅⋅⋅⋅⋅⋅⋅⋅⋅⋅⋅⋅⋅⋅ 23
4.2 Value of Visibility in Supply Chain Management ⋅⋅⋅⋅⋅⋅⋅⋅⋅⋅⋅ 25
4.3 Concept of SC Visibility Based on Process Capability ⋅⋅⋅⋅⋅ 27
4.4 Quantification Model of SCV using Process Capability ⋅⋅⋅⋅⋅ 30
4.5 Numerical Example ⋅⋅⋅⋅⋅⋅⋅⋅⋅⋅⋅⋅⋅⋅⋅⋅⋅⋅⋅⋅⋅⋅⋅⋅⋅⋅⋅⋅⋅⋅⋅⋅⋅⋅⋅⋅⋅⋅⋅⋅⋅ 36
4.6 Sensitivity Analysis ⋅⋅⋅⋅⋅⋅⋅⋅⋅⋅⋅⋅⋅⋅⋅⋅⋅⋅⋅⋅⋅⋅⋅⋅⋅⋅⋅⋅⋅⋅⋅⋅⋅⋅⋅⋅⋅⋅⋅⋅⋅ 37
Chapter 5. Assessment of Overall Supply Chain Visibility ⋅⋅⋅⋅⋅ 40
5.1 Quantification Model for the Overall SC Visibility ⋅⋅⋅⋅⋅⋅⋅⋅⋅⋅⋅ 40
5.2 Example of the Overall Supply Chain Visibility ⋅⋅⋅⋅⋅⋅⋅⋅⋅⋅⋅⋅⋅ 44
5.3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 46
Chapter 6. Conclusion and Further Research ⋅⋅⋅⋅⋅⋅⋅⋅⋅⋅⋅⋅⋅⋅⋅⋅⋅⋅ 53
References ⋅⋅⋅⋅⋅⋅⋅⋅⋅⋅⋅⋅⋅⋅⋅⋅⋅⋅⋅⋅⋅⋅⋅⋅⋅⋅⋅⋅⋅⋅⋅⋅⋅⋅⋅⋅⋅⋅⋅⋅⋅⋅⋅⋅⋅⋅⋅⋅⋅⋅⋅⋅⋅ 55
Acknowledgement ⋅⋅⋅⋅⋅⋅⋅⋅⋅⋅⋅⋅⋅⋅⋅⋅⋅⋅⋅⋅⋅⋅⋅⋅⋅⋅⋅⋅⋅⋅⋅⋅⋅⋅⋅⋅⋅⋅⋅⋅⋅⋅⋅⋅⋅⋅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