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영유아교사의 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의 직업관, 바람직한 교사 상 및 역할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직적성척도, 교사효능감척도, 직무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고, 총 289명의 자료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 중 결혼여부, 연령, 소지자격증에 따라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모두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최종학력과 경력, 근무기관 유형은 교직적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경력과 교직적성검사여부는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기관의 유형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분석의 결과 모두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내재적 측면을 나타내며 내재적 측면을 강화시킴으로 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직적성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통해 그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1.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무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2. 이론적 배경 8
1. 영유아교사직의 특성 8
2.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 11
가.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의 개념 11
나.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의 중요성 12
다.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의 구성요소 14
3. 영유아 교사효능감 15
가.영유아 교사효능감의 개념 15
나. 영유아 교사효능감의 중요성 17
다. 영유아 교사 효능감의 구성요소 18
4.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21
가.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개념 21
나.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중요성 22
다.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구성요소 24
5. 선행연구 26
3.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도구 33
가. 적성검사 34
나. 교사효능감 34
다. 직무만족도 36
3. 연구절차 37
가. 예비조사 37
나. 본조사 및 자료수집 37
4. 자료분석 38
4. 연구결과 및 해석 39
1.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일반적 경향 39
2.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직적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차이분석 40
3.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53
5. 논의 및 결론 58
1. 요약 및 논의 58
2. 결론 및 제언 64
6. 참고문헌 66
7. 부록 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