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자기애적 성향과 공격성 및 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애 성향이 공격성과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가 매개하는가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구체적으로는 초등학생 4, 5, 6학년이 지각하는 내현적 자기애가 반응적 공격성과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가 매개 조절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공격성, 자기자비, 공감이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반응적 공격성과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가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 남녀 학생 총 5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549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반응적 공격성,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공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첫째, SPSS 21.0 을 사용해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했다. 둘째, AMOS 21.0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공격성, 자기자비, 공감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내현적 자기애는 자기자비와 공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이고 공격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자기자비는 공격성과는 부적 상관을 공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격성과 공감은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애, 공격성, 자기자비, 공감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하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자기자비가 잘 되지 않고 공감능력이 낮으며 그러므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반응적 공격성이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가 매개하였다. 초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반응적 공격성과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가 매개하는지 이를 본 결과「자기애 → 자기자비」,「자기자비→공격성」,「자기자비→공감」,「자기애→공격성」의 관계가 모두 유의하였으나 「자기애→공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한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반응적 공격성 8
2. 내현적 자기애 10
3. 공감 16
4. 자기자비 19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3
3. 자료분석 27

Ⅵ. 연구결과 29
1. 내현적 자기애, 반응적 공격성, 자기자비, 공감의 상관관계 29
2. 내현적 자기애, 반응적 공격성, 공감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30

Ⅴ. 논의 및 결론 36
1. 요약 및 논의 36
2.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