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과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이 교사효능감, 감정부조화, 소진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유형에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는 소진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초등교사의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교사효능감, 감정부조화, 소진은 상관이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가 매개하는가? 셋째, 초등교사의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의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56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초등교사의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 소진, 교사효능감, 감정부조화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SPSS 21.0, SPSS Macro, Amos 21.0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감정부조화와 교사효능감을 각각 거쳐 소진으로 가는 매개경로를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유형에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소진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표면행위는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면행위는 소진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각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에서도 초등교사의 표면행위는 소진에 정적인 영향, 내면행위는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가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교사가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표면행위보다 내면행위 수행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교사소진을 보다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때에 따라서 초등교사가 표면행위를 수행할지라도 감정부조화를 덜 경험할 수 있는 환경적 지원책이 마련된다면 소진으로 가는 경로를 단절시킬 수 있음을 함의한다. 또한 초등교사의 내면행위 수행은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감정노동 과정에서 소진을 덜 경험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소진 8
2. 감정노동 11
3. 감정부조화 19
4. 교사효능감 21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측정도구 25
3.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30
1. 감정노동, 소진, 감정부조화, 교사효능감의 기술분석 30
2. 감정노동, 소진, 감정부조화,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 31
3.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32
Ⅴ. 논의 및 결론 40
1. 요약 및 논의 40
2.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6
부록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