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연구에 대한 이중 처리 이론적 해석

초록/요약

본 논문은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영역의 연구 중 불확실성 효과와 모호함 기피 현상에 대해 이중 처리 이론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이중 처리 이론은 인간의 상위 인지인 사고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틀이다. 유형 1은 직관적 사고로 대변되며, 진화적으로 결정되어 있거나 경험적으로 학습이 되어 의식적으로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특정 사고 전략으로 빠르게 행동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유형 2는 숙고적 사고로 대변되며, 특정 규칙을 통해 의식적으로 정보를 활용하여 작업 기억의 용량 하에서 해결 전략을 만들어나가는 방식을 말한다. 연구 1은 불확실성 효과의 원인을 이중 처리 이론적 관점으로 밝히길 시도하였다. 불확실성 효과는 무조건 당첨되는 복권의 가치를 그 복권에서 당첨되는 상품 중 가장 낮은 가치를 가진 상품보다 더 낮게 평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규범적 이론인 기대 효용 이론의 틀에서는 확률과 효용으로 가치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이 이론으로는 불확실성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 이전 연구는 불확실성 효과의 원인을 확률과 효용 함수 이외에 불확실성 자체가 기피를 낳는다고 설명했다. 본 연구1에서는 불확실성 효과가 유형1 사고로 인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유형2 사고를 할 때는 불확실성 효과가 없어지거나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1에서는 불확실성 효과가 재현되는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위험(확률이 알려진 불확실성)만 다루었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모호함(확률이 알려지지 않은 불확실성)에서도 불확실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실험2와 3에서는 불확실성 효과의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기준 및 조정 휴리스틱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복권의 상품 금액을 변수 x로 바꾸어 가치를 평가하게 했다. 이 방법은 사람들이 복권을 생각할 때 유형2 사고를 하도록 유도한다. 결과는 불확실성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연구 2은 모호함 기피 현상을 이중 처리 이론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모호함 기피 현상은 수학적 확률이 동일한 두 종류의 불확실성인 위험과 모호함이 비교될 때, 사람들이 모호함을 더 기피하는 현상을 말한다. 모호함 기피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가장 널리 알려진 설명은 상대적 무지 가설이다. 이 가설은 모호함을 상대적으로 위험보다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피한다고 설명한다. 즉, 모호함은 위험과 공존할 때만 상대적 기피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위험과 모호함의 가치를 평가하면 유사한 가치 평가가 나타났다. 하지만, 위험과 비교된다는 가정이 비현실적이기에 본 연구 2에서는 위험과 모호함이 독립적으로 평가될 때에도 모호함의 평가가 위험보다 낮은지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의 독립 평가 결과는 유형1 사고의 결과라고 제안했다. 그리고 유형2 사고에서 독립 평가에서도 모호함 기피 현상이 나타날 것이며 위험보다 모호함에서 가치 평가의 변산이 더 클 것이라고 제안했다. 실험1에서는 위험과 모호함의 독립적 가치 평가에 대한 이전 연구를 재현하였다. 실험2와 3에서는 유형2 사고를 하도록 조작하여 독립 평가에서도 모호함 기피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종합 논의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 연구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관해 언급하였으며, 종합적인 이중 처리 이론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심리학에서 불확실성 연구에 대해 기대 효용 이론적 관점을 채택하고 있는 부분을 규범적, 처방적, 기술적 접근 차원으로 접근,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차 사고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방법이 불확실성 연구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ual-process Theory, Uncertainty Effect and Ambiguity Aversion in the field of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Dual-process theory proposes that human thinking is subdivided into dual types. Type 1 processes, which have the autonomic characteristics, are the kind of thinking which works fast using specific strategies learned through an evolutionary process or our experience outside of conscious awareness. Type 2 processes, having the reflective characteristics, are the kind of thinking which creates problem-solving strategies using rules in the limited capacity of working memory. The purpose of the study 1 was to approach the causes of Uncertainty E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Dual-process Theory. Uncertainty Effect is the phenomenon that people evaluate the value of the binary lottery (with known probabilities) lower than the value of its worst outcome. In the paradigm of Expected Utility Theory, this phenomenon is a kind of anomaly.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existence of uncertainty itself underestimates the lottery value rather than the product of value function or the weighting function does. Through the study 1, I suggested Uncertainty Effect, which was emerged by Type 1 processing, was reduced or removed by Type 2 processing. In Experiment 1, I verified the existence of Uncertainty Effect not only in risk lottery (uncertainty with known probabilities) but also in ambiguity lottery (uncertainty with unknown probabilities). In Experiments 2 and 3, I substituted the descriptions of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the lottery prices with unknown quantity x in the instruction of the lottery game. This manipulation allowed people not to use Anchoring and Adjustment Strategy related to Type 1, but to use mathematical thinking related to Type 2.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 2 and 3 showed that Uncertainty Effect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study 2, I explored a question of Ambiguity Aversion with the perspective of Dual-process Theory. Ambiguity Aversion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people selects risk lottery when it is compared to ambiguity lottery although they have identical mathematical probability. The well-known explanation on the cause of Ambiguity Aversion is Comparative Ignorance Hypothesis.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people are averse to ambiguity because they feel that know less about the uncertainty of ambiguity than the one of risk. What it means that Ambiguity Aversion only occurs when ambiguity and risk coexist. In the separate evaluation of value of risk or ambiguity lottery in Fox & Tversky (1995)’s study, the difference of the values between risk lottery and ambiguity lottery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study 2 cast a doubt on the assumption of the previous study that risk and ambiguity can coexist. I suggested the results of separate evaluation of the previous study is due to Type 1 processing. By activating Type 2 processing, this study tested whether Ambiguity Aversion was observed in the separate evaluation and the variation of estimated value in ambiguity lottery is higher than one in risk lottery. In Experiment 1, I reconfirmed the findings of the separate evalu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In Experiments 2 and 3, I confirmed the occurrence of Ambiguity Aversion in the separate evaluation by manipulating the thinking type with using the unknown quantity (in Experiment 2) and procedural priming (in Experiment 3). The findings of the study 2 showed Ambiguity Aversion was driven by Type 2 processing. In general discussion, I suggested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inking processes on uncertainty (risk and ambiguity) related to the findings of study 1 and 2 employing Dual-processing Theory. Also, I criticized the field of uncertainty studies in psychology dominated by the perspective of Expected Utility Theories. Finally, I argued psychological theories should be emerged from descriptive studies without the assumption of axiom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이중 처리 이론(dual process theories) 4
2. 불확실성에 대한 정의 7
Ⅱ. 연구 1 13
1. 실험 1 20
2. 실험 2 27
3. 실험 3 31
4. 연구 1에서의 일반 논의 34
Ⅲ. 연구 2 39
1. 실험 1 53
2. 실험 2 59
3. 실험 3 61
4. 연구 2에서의 일반 논의 63
Ⅳ. 종합 논의 68
Ⅴ. 종합 결론 80
Ⅵ. 참고 문헌 81
Abstract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