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단원 분석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고는 고전소설을 감상하는 것을 예로부터 전해오는 가치를 학습자들이 깨닫고 배우는 것에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고, 교육을 통해 이러한 고전소설의 의미를 배우게 하려면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담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된 내용들이 교육에서 실제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학교에서 교수·학습을 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인 교과서를 통해 교육내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교과서를 확인하면서 나타난 아쉬운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결국 고전소설이 ‘문학’ 영역을 배우는 데 있어 좋은 제재이며, 큰 가치가 있음을 밝히기 위함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4
3. 연구 대상 및 방법 ……………………………………………………………… 9
Ⅱ. 중학교 고전소설교육의 의의와 현황 ………………………………………… 12
1. 고전소설의 교육적 의의 ……………………………………………………… 12
2.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 ……………………………………………… 20
Ⅲ.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소설 단원의 실제 ………………………………… 25
1. 단원의 목표 …………………………………………………………………… 26
가. 대단원 학습목표 ……………………………………………………………… 29
나. 소단원 학습목표 ……………………………………………………………35
2. 본문 구성과 학습활동 내용 ………………………………………………… 39
가. 본문 구성 요소 …………………………………………………………… 39
나. 학습활동의 내용 …………………………………………………………… 44
Ⅳ.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소설 단원의 개선방안 …………………………… 60
1. 능동적 감상 활동의 강화 …………………………………………………… 60
2. 주제 탐구 활동의 확대 ……………………………………………………… 70
Ⅴ. 결론 ………………………………………………………………………………… 74
참고문헌 …………………………………………………………………………………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