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부모공감과 학교적응의 차이

초록/요약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600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부모공감과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건강한 심리, 사회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공조 협력의 필요성에 따라 교육적 예방 및 사후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남,녀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피해, 가해, 가,피해, 무경험) 실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유형에 따라 부모공감 차이는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유형에 따라 학교적응의 차이는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부모공감 및 학교적응은 상관이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학교폭력 경험 실태를 측정하기 위해 박효정 외(2005)의 '학교폭력경험유형' 분류를 따랐으며, 부모공감 척도는 조용주(2010)가 개발하고 타당화를 실시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 척도는 이규미(2005)가 개발한 학교적응 구성요소를 이규미와 김명식(2008)이 확인적 요인 분석 및 타당화 작업을 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 본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실태에 따른 부모공감과 학교적응 차이는 부모의 공감적 양육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일수록 학교적응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심리, 사회적 발달을 도모하는 청소년들에게 가정과 학교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한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가 상호 긴밀한 협조 아래 학교폭력 사전 예방과 사후 상담치료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실제적인 교육과 그 대처 방안을 강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폭력의 실제적인 대처 방안과 예방 사업, 그리고 적응적인 청소년기의 심리, 사회적 발달과업을 위해 가정과 학교의 노력을 더욱 견고하게 다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more

목차

국문초록
목차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연구문제--------------------------------5
이론적배경------------------------------7
학교폭력--------------------------------7
부모공감--------------------------------26
학교적응--------------------------------30
연구방법--------------------------------35
연구대상--------------------------------35
측정도구--------------------------------37
분석방법--------------------------------42
연구결과--------------------------------43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성차----------43
고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실태-------------50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른 부모공감의 차이--56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59
고등학생의 부모공감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61
요약 및 결론-----------------------------63
요약 및 논의-----------------------------63
결론 및 제언-----------------------------66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