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arent?involved Program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ger Control Abilit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체계적인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절차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부모연계 프로그램은 요구조사, 전문가 타당화, 예비 프로그램 실시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보완이 가능하도록 구안하여 보다 타당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 분석, 요구조사, 프로그램의 목표설정, 구성요소 추출 및 내용선정, 회기목표 설정, 프로그램 제시전략, 프로그램 내용 구체화, 전문가 타당화, 예비 프로그램 적용, 최종 프로그램 적용, 프로그램 효과검증의 11단계로 구성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로 구안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분노척도를 실시하여 전체 득점의 평균점수((M=97, SD=17.9) 이상인 학생과 그의 부모이다. 부모가 자녀와 함께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아동과 부모 10쌍씩, 아동만 참여하는 비교집단에 1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주 2회, 12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에 실험집단은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결 직후에 사후검사, 프로그램 종결 6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 검사 후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고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추후검사 후에 부모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사시기(사전, 사후, 추후)와 집단(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Mixed-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결과를 보다 타당하게 해석하기 위해 회기별 참가자들의 경험보고서와 최종 소감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분노수준 전체 감소와 분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하위 구성요소의 분노감소는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와 비교하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아동 분노표현양식, 아동이 보고하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부모의 분노표현양식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세째, 회기별 참가자들의 경험보고서,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와 부모-자녀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부모연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의 개발모형과 이론에 근거해 체계적이고 타당한 절차를 거쳐 개발되었고, 그 개발모형과 절차를 충실히 준수함으로써 부모연계 프로그램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프로그램은 아동 단일대상으로 실시한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보다 초등학생의 분노수준, 부모-자녀 의사소통, 초등학생과 부모의 분노표현양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부모연계를 함으로써 아동의 분노조절에 있어서 부모변인의 중요성을 입증하였으며, 상담과 학교장면에서 학교폭력 및 공격성으로 인한 부적응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예방적조기개입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분노조절 능력 향상, 부모연계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발모형, 부모변인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분노 10
가. 분노의 개념 10
나. 분노의 기능 13
다. 분노의 구성요소 15
라. 초등학생의 분노유발과 분노표현 24
2. 분노조절 27
가. 분노조절의 개념 27
나. 초등학생의 분노조절의 중요성 29
다. 분노조절과 부모의 역할 32
라. 분노조절 관련 제변인 36
3. 분노조절 프로그램 고찰 41
가. 국외 분노조절프로그램 41
나. 국내 분노조절프로그램 46
다. 한계점과 프로그램의 방향 50
4. 분노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 53

Ⅲ. 연구방법 60
1. 프로그램 개발 60
가.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 60
나. 프로그램 모형 62
2. 효과 검증 66
가. 연구대상 66
나. 프로그램 진행자 67
다. 실험설계 67
라. 연구도구 69
마. 자료처리 및 분석 73

Ⅳ. 프로그램 구안 75
1. 프로그램 구안 방향 75
2. 프로그램 구안 과정 77
가. 학생 및 학부모 요구조사 77
나. 요구조사 시사점 87
다.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89
라. 구성요소 추출 및 내용선정 89
마. 프로그램 회기와 회기별 목표 90
바. 프로그램 제시 전략 92
사. 프로그램 내용의 구체화 95
아. 잠정적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화 96
자. 예비프로그램의 적용결과 및 수정·보완 99
3. 최종 부모연계 프로그램 101

Ⅴ. 프로그램 효과 검증 103
1. 양적 검증 103
가. 아동의 분노수준에 미치는 효과 103
나. 아동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 110
다. 아동이 보고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115
라. 부모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 118
2. 부모연계 프로그램 내용 분석 123
가.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123
나. 경험보고서 내용 124
다. 아동과 부모의 변화 내용 129

Ⅵ. 논의 및 결론 132
1. 논의 132
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132
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36
2. 결론 150
가. 요약 및 결론 150
나.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53
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55


참고문헌 157
Abstract 181
부 록 18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