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결혼이미지가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인 남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성인 남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461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척도, 결혼이미지 척도, 결혼가치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SPSS/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종교, 학력, 결혼형태, 결혼생활 유지에 적절한 가정의 월평균 소득, 부모의 결혼형태)에 따라 각 변인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우선,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전체에 대한 인식은 연령, 결혼형태, 부모의 결혼형태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부모의 부부관계 각 하위요인별로 보면 심리적 조화, 갈등, 부의 협조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 결혼형태, 부모의 결혼형태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결혼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라 20대가 40대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라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은 연령, 결혼생활 유지에 적절한 가정의 월평균 소득, 부모 결혼형태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은 종교와 결혼형태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종교, 학력, 결혼생활 유지에 적절한 가정의 월평균 소득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결혼이미지, 결혼가치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선,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전체는 결혼이미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결혼이미지는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하위요인에서 심리적 조화, 부의 협조성, 모의 역할은 결혼이미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갈등은 결혼이미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및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의 관계에서 결혼이미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more

목차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부모의 부부관계 6
2. 결혼이미지 8
3. 결혼가치관 9
4. 각 변인간의 선행연구 11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2. 측정도구 19
3. 자료분석 25

Ⅳ. 연구결과 26

Ⅴ. 논의 55

참 고 문 헌 64
부 록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