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웹 기반 손상감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Web-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초록/요약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손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WHO 국제안전도시 인증사업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세계 31여 개국 약 300여개의 지역사회가 국제안전도시 인증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손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손상의 현황이나 원인을 분석하는 손상감시체계가 꼭 필요하다. 하지만 손상감시체계에서 필요한 손상 관련 정보는 국가단위의 통계로 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해당 통계의 수집 목적에 따라 이미 가공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표준화가 어려워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손상통계지표를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지역사회의 손상관련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손상관련 통계지표를 산출하는 웹 기반의 손상감시시스템을 구현하여 업무담당자가 쉽게 손상자료의 관리 및 통계산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손상관련 원자료를 시스템에 그대로 업로드 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개발하고, 업로드된 원자료를 미리 정의된 통계용 항목 및 범주 코드를 바탕으로 표준화/정규화 하여 통계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상관련 임의의 질의에 응답할 수 있도록 질의의 형태를 분석하고 질의의 인자를 추출하여 통계를 산출하는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웹을 통해 게시 및 활용할 수 있는 활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잡한 손상관련 자료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 및 활용이 가능하여 지역사회의 안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국문 요약 i
1장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 절 국제 안전도시 인증사업 1
2 절 손상감시체계 3
1항 손상감시체계의 정의 3
2항 손상감시체계 운영현황 3
3항 손상감시체계 운영의 어려움 4
3 절 프로그램 기반의 손상감시체계 운영의 필요성 6
1항 데이터 수집, 관리의 측면 6
2항 데이터 분석의 측면 7
3항 데이터 활용의 측면 8
2장 연구 범위 및 목표 9
1 절 목표 시스템 개요 및 목표 9
1항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 9
2항 손상관련 자료의 분석, 평가 및 지표산출 12
3항 데이터 관리, 통계 산출 및 활용 업무의 용이성 13
2 절 목표 시스템 설계 14
1항 시스템 구성도 14
2항 데이터 흐름도 15
3항 데이터베이스 설계 17
4항 목표 시스템 플랫폼 설정 19
3장 웹 기반 손상감시체계 구현 20
1 절 데이터 수집 모듈 20
1항 원자료 데이터 분석 20
2항 원자료 데이터 입력 모듈 개발 23
2 절 데이터 관리 모듈 25
1항 데이터 표준화/정규화 방안 25
2항 통계용 DB의 통계코드 관리 26
3 절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모듈 28
1항 UI 및 통계 알고리즘 개발 28
2항 통계 결과 표현 32
3항 통계지표 활용 모듈 33
4장 결론 37
1 절 데이터 수집/관리의 측면 37
1항 데이터 수집의 측면 37
2항 데이터 관리의 측면 37
2 절 데이터 분석 및 활용의 측면 38
3 절 본 연구의 성과 38
4 절 고찰 및 향후 연구 39
1항 손상원자료 종류의 확대 39
2항 안전사업 컨텐츠와 연계한 지표 활용 방안 모색 39
3항 지역사회 별 손상안전지수 산출 39
4항 지역사회 별 손상안전관련 전산 시스템 연계 활용 39
5항 활용대상 확대 40
참고문헌 (Bibliography) 41
영문요약 (Abstract) 4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