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또래 간 상호작용 및 유아의 이야기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또래 간 상호작용 및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은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오산시에 소재한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52명(실험집단 26명, 비교집단 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 적용은 실험집단에 한해서 9주 동안 매주 1회씩 총 9회에 걸쳐 산책 활동 후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산책 활동 후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산책하기, 회상하기, 그룹 구성 및 역할 분담, 협동 이야기 짓기, 평가, 발표하기의 5단계로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전과 후의 행동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Holloway & Reichhart-Erickson(1988)의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범주를 곽주영(1996)이 번안한 것을 김희경(2011)이 수정?보완한 또래 상호작용 관찰 도구와 Kraayenoord와 Paris(1996)가 개발한「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 검사」(고은님, 1998)이 수정 보완한 것)를 사용하였다. 또래 간 상호작용의 관찰은 실내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 동안 참여관찰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검사는 일대일 개별 면접의 형태로 도서관에서 실시하였다. 이야기 구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용으로는 글 없는 그림책 「빨간 끈」(이 경우, 1998)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사용으로는 글 없는 그림책 「왜?」(니콜라이 포포프, 1997)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또래 간 상호작용 중 긍정적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긍정적 상호작용 중에서도 도움 주고받기, 나누기, 미소/ 웃음 주고받기, 애정적 신체 접촉하기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또래 간 상호작용 중 의존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은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구성능력의 하위 요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자발적 이야기 구성능력과 유도적 이야기구성능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이야기 구성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이야기 구성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모색 및 적용에 대한 유의미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산책 활동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7
2.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짓기 11
3.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와 또래 간 상호작용 18
4.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와 이야기 구성능력 19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 도구 24
3. 연구절차 31
4. 자료 처리 4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4
1.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또래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4
2. 산책을 통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이야기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및 결론 55
1. 논의 55
2. 결론 59
3. 제언 61

※ 참고문헌 62
※ 부 록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