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초록/요약

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표현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A대학교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아버지의 양육태도 척도, 아버지의 정서표현 척도,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초통계 분석과 각 연구변인 간 상관계수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 연구결과는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아버지의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사회적 유능성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남자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허용적, 권위적, 민주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아버지의 허용적, 권위적, 민주적 양육태도가 낮은 남자 대학생들의 경우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가 사회적 유능성이 높았다. 또한 아버지의 허용적, 권위적, 민주적 양육태도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도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사회적 유능성이 높았다. 셋째,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허용적, 권위적, 민주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민주적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아버지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성장기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와 사회적응에서 중요한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남자 대학생은 아버지와 같은 동성의 남자로서 아버지를 동일시와 모델링 대상으로 여기며 성역할 발달에 영향을 받으며, 사회구성원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자 대학생은 이성인 아버지로부터 존중 받고 합리적이고 따뜻하고 일관적인 양육태도와 긍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받을수록 배우자 선택과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있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버지와 자녀 간에서 성이 다른 자녀를 대할 때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로 제공되며, 상담현장과 부모교육을 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more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1. 아버지의 양육태도 --------------------------- 6
2. 아버지의 정서표현성 ------------------------- 8
3. 사회적 유능성 ------------------------------- 9
4. 각 변인 간 선행연구 -------------------------- 11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 16
2. 측정도구 ------------------------------------ 18
3. 분석 방법 및 해석 절차 ----------------------- 22

Ⅳ. 연구결과
1.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 23
2. 아버지의 양육태도, 정서표현성,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24
3.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26

Ⅴ. 논의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3
부록 -------------------------------------------- 6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