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현황 및 요구 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들 간 의사소통의 현황을 파악하고, 아버지와 유아교사가 원하는 의사소통 내용과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들 간 효율적인 의사소통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내용과 방법의 현황은 어떠한가? 3.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내용과 방법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 안성시, 평택시에 소재한 교육기관(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기간은 2015년 3월 23일부터 4월 3일까지 총 2주 동안 이루어졌다. 아버지용 설문지는 350부를 배부하여 289부(82.5%) 회수되었으며, 교사는 210부를 배부하여 186부(88.5%) 회수하였다. 그중 아버지 9부, 교사 4부를 제외하고 최종 아버지 280부, 교사 182부를 연구결과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해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의사소통 인식과 내용 및 방법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검증을 실시하고, 내용 및 방법의 요구를 분석하기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버지와 교사 간 의사소통 현황 및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교사의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의사소통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교사가 높게 나타났고, 필요성과 가치는 아버지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아버지와 교사 모두 의사소통 인식의 가치를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아버지와 교사는 서로의 의사소통을 통해 유아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의사소통이 가족기능에 도움을 주며, 의사소통을 통한 가정과 교육기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아버지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및 방법 현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가 아버지보다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현황에서는 원에서의 생활과 원 운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방법 현황에서는 일방적 의사소통과 쌍방적 의사소통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에서 아버지보다 유아교사가 더 많이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과 방법 요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내용 요구에서는 ‘놀이 및 교육활동’, ‘식생활’, ‘가정에서 자녀의 생활’, ‘부모의 자녀양육 방식’, ‘유아의 가정환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방법 요구에서는 ‘교육기관에 설치 된 게시판’, ‘가정통신문 및 교육계획안’, ‘인터넷 및 이메일’, ‘스마트 폰 및 커뮤니케이션 앱’, ‘등?하원 시 선생님과 잠깐의 대화’, ‘전화통화’, ‘개별면담’, ‘부모교육 참여’, ‘운영위원회 및 아버지 모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녀의 양육은 어머니만의 몫이 아닌 공동양육자로서 아버지의 몫이기도 하며, 교육기관은 유아기의 자녀들이 가정 다음으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공동양육자로써 아버지도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교사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자녀의 성장발달에 더 많은 도움을 주어야 하겠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리 6

Ⅱ. 이론적 배경 7
1. 현대사회의 아버지 역할 7
가.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 7
나. 아버지 역할의 변화 8
2.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11
가.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관계 형성 11
나.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중요성 14
다.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17
라.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방법 18
3.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가. 아버지 26
나. 유아교사 28
2. 연구도구 31
가.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의 인식 31
나.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의 내용 및 방법의 현황과 요구 33
3. 연구절차 36
가. 예비조사 36
나. 본 조사 및 자료수집 36
4. 자료 분석 37

Ⅳ. 연구결과 38
1.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인식 38
가. 아버지의 의사소통 인식 38
나.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인식 42
다.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 46
2.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및 방법 현황 46
가. 아버지의 의사소통 내용 현황 46
나.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현황 48
다.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내용 현황의 차이 51
라. 아버지의 의사소통 방법 현황 51
마.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방법 현황 53
바.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방법 현황의 차이 55
3.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및 방법 요구 56
가. 아버지의 의사소통 내용 요구 56
나.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요구 57
다.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내용 요구의 차이 58
라. 아버지의 의사소통 방법 요구 60
마.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방법 요구 60
바. 아버지와 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방법 요구의 차이 61
Ⅴ. 논의 및 결론 63
1. 논의 63
가.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인식 63
나.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및 방법 현황 65
다. 아버지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및 방법 요구 68
2.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록> 77

more